인터넷 신문이 주류매체에 맞서 약진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새롭게 갖춰진 시공간적 요건과 시민들의 참여라는 요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인터넷 환경의 활성화, 새천년이라는 시간적 환경과 함께 기성언론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 등이 동인으로 작용한 것.

1등 주자 오마이뉴스

올 한해 약진한 인터넷 신문 가운데 맨 앞자리에 놓이는 곳은 ‘오마이뉴스’다. 오마이뉴스는 지난 2월 창간한 이래 10월 YS·동아일보 김병관 회장의 고대앞 사건과 지난 달 초 이정빈 장관 폭탄주 발언 등을 보도해 언론계와 네티즌들의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밖에도 386의원들의 광주 술판, 매향리 시위 등을 보도하면서 기성 언론으로는 접근하기 힘든 분야를 다뤄왔다. 언론계 안팎에선 ‘무엇이 뉴스인지’를 선택하는 권한은 언론사 사주나 기자뿐이 아니라 시민에게도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오마이뉴스는 지난 달 초에는 시사주간지 시사저널에 의해 ‘영향력 10위’라는 영예도 얻은 바 있다. 그럼에도 오연호 대표는 “‘영향력 10위’라는 건 전적으로 언론전문가인 여론주도층에게나 해당되지 대중들에게 어필하긴 아직 멀었다”고 지적했다. 오마이뉴스가 처한 과제는 무엇보다 재정적으로 전망이 있느냐는 것. 지난 2월 자본금 4억원으로 출발해 여름엔 386 벤처기업인들로부터 6억원의 펀딩을 받았다. 이 덕분에 1∼2년은 더 버틸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지만 한계는 분명하다는 지적이다.

오마이뉴스는 전체 수입의 약 70%를 광고로 채우고 있으며, 20%는 교육문화사업, 10%는 뉴스컨텐츠 판매 등으로 충당하고 있다. 하지만 적자폭이 월 1000~1500만원으로 올해 전체 1∼2억원 정도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오대표는 “내년부터는 자발적인 유료화, 광고유치의 본격화, 컨텐츠판매, 문화사업 확대 등 수익원을 창출하는데도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오마이뉴스가 종합적인 정보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준 언론으로 성가를 올린 것과는 달리 전문적인 정보로 자리를 잡은 인터넷 경제신문들의 약진도 두드러진다. 지난 1월과 3월 각각 오픈한 ‘머니투데이’와 ‘이데일리’는 지난 해 말과 올해 초까지 활황을 누리던 증시를 배경으로 큰 성장을 이뤘다. 한 경제부 기자는 “인터넷 경제신문으로 불리는 이들 매체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장참여자들의 수요가 광범위하게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사이트 실시간 무료정보제공

머니투데이는 현재 이슈투데이, 플러스게이트, 한화증권, 한국신용평가정보, The Information, 비엔비아이닷컴, 미국 Bloomberg 등과 제휴하고 있는 상태다. 자본금은 초기 38억원으로 시작해 몇 차례의 펀딩을 거쳐 현재는 80∼90억원선. 주 수입원은 증권관련 업체에 컨텐츠를 판매하는 것. 국내 증권사 16개사, 포털사이트 7개사, 증권관련 사이트 13개사에 뉴스를 제공하고 한 곳당 월 300∼1000만원을 받는다. 머니투데이의 수익구조는 광고와 컨텐츠 판매가 각각 3 대 7 정도.

이데일리는 지난 4월 무역일보와 업무제휴에 들어갔고 지난 6월엔 파이낸셜 뉴스·블룸버그·교통방송 등에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9월 투자유치로 이데일리의 자본금은 24억1500만원에서 28억4650만원으로 늘어났다. 이들 인터넷 경제신문의 고민거리는 수익구조를 어떻게 창출하느냐는 것. 인터넷 업체의 한 관계자는 “한편으로는 네티즌들에게 무료로 뉴스를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료로 판매하는 묘한 방법을 취하고 있지만 더 이상 활로개척은 쉽지 않다”며 “무료를 접든지 컨텐츠를 접고 광고를 더 받아들이든 지의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속성을 생명으로 하는 인터넷 경제신문이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도 지적을 받고 있다. 시간에 쫓겨 보도하다 오보를 내면 시장에 매우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반면 누구도 책임지긴 어렵다는 것. 일례로 지난 9월 이데일리는 미 S&P 오가와 동남아지국장이 “2년 내에 한국 신용등급을 올리지 않겠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으나 곧이어 연합인포맥스가 “한국 국가신용등급은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면 올려줄 수도 있다”고 보도를 뒤집어 시장이 요동을 쳤다. 그 뒤 재경부측의 공식 질의를 받은 오가와 지국장이 이데일리의 보도에 대해 “그렇게 말한 적 없다”고 회신을 보내왔고 이데일리도 당일 저녁 9시 경 정정기사를 내보내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