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자유무역협상) 비준 동의안 국회 처리가 눈앞에 다가왔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일찌감치 비준 동의안을 10월 안에 처리하겠다고 공언했고, ‘10+2’ 재재협상을 해야 한다는 민주당의 요구는 큰 울림을 갖지 못하고 있다. 찬성과 반대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 한미 FTA와 언론 보도를 함께 들여다봤다. 대한민국 사상 최대 규모의 협정이라는 한미 FTA를 과연 우리 언론은 어떻게 보도하고 있을까. 또 제대로 검증하고 있는 것일까. /편집자 주

언론이 한미FTA를 다루는 방식에는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찬성과 반대 측의 주요 주장을 나열하고, 그에 따른 논쟁의 양상을 ‘중계’하는 형태가 있다. 주로 여야 간의 충돌이나 대립을 단순히 묘사하는 방식이다. <한미FTA 끝장토론, 마지막까지 ‘평행선’>(연합뉴스 2011.10.24)이라는 기사처럼 “주요 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는 구절로 시작해 양 측의 입장을 소개한 뒤, “향후 비준안 처리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는 식의 ‘손쉬운’ 예측과 (반대 단체들로 인해) “한 때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는 풍경 묘사로 끝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지난 2009 11월 19일 오전 청와대를 방문해 방명록에 서명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이러한 형태의 기사는 언뜻 공정해 보이지만, 찬성이나 반대 양쪽 모두에게 아쉬움이 남는 기사일 수밖에 없다. 기계적으로 선택된 ‘워딩’은 양쪽의 공방을 중계할 뿐, 그 주장들의 이면을 들여다보지 않는다. 독자들에게도 아쉬움이 남기는 마찬가지다. 양쪽의 주장이 단편적이고 제한적으로, 또 같은 비중으로 전달되는 상황에서 독자가 내릴 수 있는 판단은 ‘누가 누구랑 또 싸우는구나’의 수준을 넘기 어렵다. ‘가장 많은 팩트를 알고 있(어야 하)는’ 기자가 판단을 독자들의 몫으로 떠넘긴 결과다.

‘화끈하게’ 정부나 (준)정부기관 연구소 등 찬성 측의 주장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 한미 FTA가 발효되면 ‘향후 10년간 국내총생산(GDP)이 5.66% 늘어나고, 35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외국인 투자와 무역수지 흑자가 모두 증가한다’는 정부 발표를 단순 전달하는 보도가 대표적이다. 작년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거의 대부분의 언론이 장밋빛 전망을 늘어놓았던 것과도 비슷하다.

<‘코리아 브랜드’ 가치 상승…수출확대 효과만 20조원>(국민일보 2010.10.15)이라는 당시 기사는 G20 정상회의의 간접효과가 31조800억 원에 이른다는 한국무역협회의 보고서를 그대로 인용해 보도한 한 사례다. 경제적 효과를 다 합치면 무려 450조원에 달한다는 보도도 심심치 않게 나왔다. (뉴시스 등) 그 ‘경제적 효과’들이 지금 어떻게 됐는지 살펴보는 기자들은 없다. 애초에 존재하지 않거나 검증할 수 없는 수치들이었기 때문이다.

한미 FTA 기사도 마찬가지다. ‘한미 FTA로 달라지는 우리생활’이나 ‘한미 FTA 바로알기’, ‘한미 FTA 독소조항 주장에 대한 반론’ 등 정부 관계 부처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적당히 엮어 써낸 기사들은 셀 수 없이 많다. 메일함으로 도착한 정부 측 보도자료를 열어 접속어와 수사를 섞으면 그대로 기사가 되기도 한다. “10년간 소비자에게 돌아갈 후생 혜택도 20조원으로 추정된다”거나 “10년간 무역수지는 46억 달러, 전체 무역흑자는 200억 달러가 각각 늘어나고 외국인 투자도 230억~320억 달러 정도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식의 보도(2010년 12월 6일자 서울신문)가 그 예다.

물론 정부가 추진하는 핵심 시책에 대해 정부의 입장과 판단 근거들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일은 중요하다. 그러나 문제는 정작 장밋빛 전망을 동원한 ‘홍보’에는 열을 올리면서도, 제대로 된 검증은 게을리하는 언론에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