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미디어렙 입법을 놓고 입장차를 줄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신문업계에서 종합편성채널 출범에 따른 광고 매출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ㄱ신문의 광고국 책임자는 “올해 1, 2월 기업들이 ‘종편 때문에 아직 예산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광고 집행을 미뤄 무척 어려웠다”며 “이후 2/4분기에 약간 광고가 풀리긴 했지만, 예년 같으면 특수를 기대해 볼 만한 연말에 종편이 무더기로 출범해 매출이 이전 같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책임자는 또 “조만간 종편이 본격적으로 광고 영업에 나서고 개국이 임박한 시점이 되면 신문업계가 어떤 식으로든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미디어렙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종편들이 방송 광고도 분명히 신문 영업하듯 할 텐데, 그렇게 되면 광고 분야의 질서가 망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한겨레 이승진 애드국장은 종편이 본격적으로 방송에 나서는 내년 광고 매출이 올해보다 8~10% 가량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ㄴ신문사의 고위 간부도 “구체적으로 수치를 따져보지는 않았지만, 종편 출범으로 신문 광고가 많게는 20% 가량 감소할 것이란 예상이 있다”며 “가뜩이나 제지회사가 최근 용지대를 10%나 올려 부담이 커졌는데, 제작비는 늘고 광고수입은 줄어들게 생겼다”고 털어놨다.

신문사 광고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종편이 방송 광고 영업을 신문처럼 할 경우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ㄷ신문사의 한 관계자는 “얼마 전 시내 모처에서 한 종편사 보도국 간부가 신문사쪽 인사와 함께 기업체 사람들을 만나는 걸 봤다”며 “9월 정기국회에서 미디어렙 법안이 제정되지 않으면 종편의 직접 영업을 막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ㄱ신문의 광고 책임자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6월 방송기자클럽 주최 TV토론회에서 종편을 ‘아기’에 비유하며 “걸음마할 때까지는 보살펴야 한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그런 논리라면, 수입이 적은 하층 계급이나 노인들도 살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 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또, 종편을 향해서도 “황금채널, 의무재송신 등 특혜는 지상파와 똑같이 누리고, 광고 등 규제는 케이블 입장에서 받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비판한 뒤 “비종편 신문사 입장에서는 죽느냐 사느냐가 걸린 문제인데, 한국신문협회가 종편사 중심으로 움직이다 보니 한 목소리를 내기도 어렵고 답답하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신문업계가 우려하는 만큼 종편의 영향력이 크지 않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한 대형 광고대행사 관계자는 “특정 기업이 총대를 메고 영향력이 낮은 신문에 대한 광고 집행을 중단하지 않는 이상 ‘홍보’를 중시하는 일부 기업이 무작정 신문 홍보비를 줄일 수는 없을 것”이라며 “규모가 작고 대기업 광고 의존도가 높은 신문일수록 매출 하락폭이 크겠지만, 기본적으로 조중동 같은 대형 신문도 10% 안쪽의 매출 감소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또 “개국 전까지는 매출액 상위 그룹들이 ‘축하 인사’를 하는 정도일 테고, 출범 이후엔 시청률에 따라 광고 게재 여부 판단이나 단가 조정이 있을 것”이라며 “종편이 지상파와 경쟁하려면 연간 2000억 원 이상 제작비를 투자해야 하는데, 출범 초기엔 1년 매출액이 많아야 1000억 원 정도이기 때문에 종편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