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육체에 건전한 정"’이란 오랜 명구는 사실은 ‘건전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드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가 생략되어 왜곡된 것이다.

이 말은 히틀러에 이르러 ‘병든 신체에는 결코 건강한 정신이 깃들 수 없다’는 저 불길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 ‘민족적 인식’이 바로 국가 사회주의 독일에서 잔혹한 귀결, 즉 당시의 이른바 ‘무가치한 생명’의 말살을 초래했던 것이다.

베르나르 앙리 레비는 ‘말’은 ‘권력의 형태 그 자체’라고 했다. 롤랑 바르트는 더 극단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롤랑 바르트는 “권력이 언어가 아니라 언어가 권력이다. 언어는 억압적이고 강제적이며 배제적이다. 말한다는 것은 의사를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억압하는 것”이라고 설파했다.

롤랑 바르트가 밝히고 있는 것처럼 19세기 부르주아 계급은 마치 당연한 일인 양 자신들의 입장을 정당화하는 독특한 어휘체계에 길들여져 있었다. 권익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은 항상 ‘소수의 개인’이었고 파업에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은 ‘침묵하는 노동자들’이었다. ‘소수의 노동자’와 같은 상투어들은 적을 깔보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들을 축소시키기까지 했다.

´우리가 소망하는 최소한의 세계’를 만들기 위해 누구나 ‘언어’에 대한 최소한의 고려를 해야한다. 옳은 것이 옳다는 사고방식 ― 대통령의 말이니까(권위주의), 절차와 형식을 갖추었으니까(형식주의) 옳다 ― 은 폐기돼야 한다. ‘국가전복’이나 ‘통신대란’이란 말은 언어에 대한 ‘최소한’의 고려도 없었던 ‘대통령’의 말이었다. ‘말’에 관한한 우리는 아직도 19세기에 살고 있는 것이다.

선거 중에는 자살률이 무려 21%나 감소한다고 한다. 유권자들에게는 그만큼 살맛이 나는 기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오히려 선거기간중에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게 한다. ‘국가전복’이라는데 살 맛나는 사람이 어디있겠는가. ‘병든 신체’가 결국 ‘사형’을 의미하는 말이 됐다면 ‘국가전복’은 더 ‘사형’에 가까운 말이 아닌가.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