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PCS사업(2G 서비스) 폐지에 제동이 걸렸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회의를 열어 KT가 신청한 관련사업 폐지 승인을 유보하기로 의결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KT 2G 이용자수가 81만 명이나 되고 폐지 통지기간도 지난 3월말부터 채 석 달이 안 된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KT는 2G 서비스를 6월말까지 종료하고 오는 11월부터 4G LTE(롱텀에볼루션)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었다.

이날 회의에서 김충식 위원은 "잔여 가입자가 81만 명이나 돼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승인을 유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용섭 위원 역시 "잔존 가입자도 문제지만 통지기간이 3월 28일부터 현재까지 너무 짧아 국민 저항이 있을 수 있다"며 유보 입장을 밝혔다.

양문석 위원은 "아직까지 80만 명 넘게 남겨놓은 것은 소비자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조차 없는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과거 KT가 시티폰 사업폐지 신청 시 잔존 이용자 수는 17만9000명이었고, SKT가 디지털로 전환할 때에는 6만1000명에 불과했다. 홍보 기간도 미국, 일본, 호주는 2~3년이 걸렸고, SKT 디지털 전환 때는 9개월이었다.

방통위는 "주파수 이용 효율성 제고, 기술발전 추세 등을 감안하면 2G 서비스 폐지는 타당하나, 아직 이용자가 많고 충분한 홍보 기간을 둔 국내외 사례 등을 고려했을 때 사업폐지 승인을 유보한다"고 밝혔다.

KT는 선례에 비춰 적정한 수준으로 잔존 가입자가 감소했을 때 다시 사업폐지 승인 신청을 해야 하며, 방통위 승인과 의결을 거친 뒤 2G서비스는 종료된다. 최시중 위원장은 앞서 적정 수준으로 50만 명을 거론한 바 있으나, 양 위원은 이날 최소 시티폰 수준을 언급했다.

KT는 지난 4월말 110만 명에서 5월말 81만 명으로 30만 명 가까이 2G 가입자를 줄였지만 추가로 대폭 줄여야 할 상황이다. KT는 자사 3G 전환 시 46만1000원~100만5000원 수준 지원 등의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KT 보상에 대한 불만이나 2G 서비스 존속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다.

한편 2G 이용자는 5월말 기준으로 KT 81만 명 외에 SKT 871만 명, LGU+ 915만 명으로 모두 1867만 명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