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40%를 넘는 이른바 ‘국민드라마’ <제빵왕 김탁구>가 화제다. KBS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는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드라마 구조의 거의 모든 것을 갖고 있다. 배경은 재벌가이고, 주인공은 의협심에 불타는 권선징악 캐릭터, 사건 구성은 대결 방식이며, 출생의 비밀에, 두 주인공의 대립에 따라 필연적으로 파생되는 삼각 멜로 라인까지. 이쯤 되면 거의 시청률 보증수표 ‘종합선물세트’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런 전형적인 구조가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는다는 것은 드라마 성공의 ‘전범’이라 할 수 있는 “소재와 이야기는 최대한 익숙하게, 비주얼을 색다르게”라는 규범을 충실히 따랐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청자들은 선한 주인공 캐릭터의 성공을 바라는 것과 비례해, 반대의 위치에 있는 ‘안타고니스트’(반주인공)의 몰락을 또한 기대한다. 그런 의미에서 <제빵왕 김탁구>는 김탁구(윤시윤)의 성공담임과 동시에 구마준(주원)의 실패담이다. 여기에 쓰인 주인공과 반주인공의 갈등 구조는? 천재와 범재의 대결이다. 하지만 가장 결정적인 갈등구조로 남는 것은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의 관계로 잘 알려져 있는 ‘열등감’이다.
이른바 ‘살리에리’라는 캐릭터는 극심한 열등감으로 모차르트를 요절에 이르게 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그는 모차르트보다 나이도 훨씬 많았을 뿐더러 당시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발탁하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그리고 슈베르트의 스승일 정도로 당시 독보적인 위치를 가졌던 유명 음악가였다.

   
     
 
그럼에도 살리에리에게 이런 이미지가 덧칠되어 있는 것은 푸시킨의 희곡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와 그를 바탕으로 한 영화 <아마데우스>(1971) 때문이다. 일종의 루머가 예술작품으로까지 만들어 진 것은 대중들이 그 열등감을 ‘개연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일상에서와 마찬가지로 열등감은 상처받은 자아에 대한 일종의 복수심과 만나 거대한 욕망을 탄생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마준의 상처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흥미로운 점은 그런 마준의 캐릭터 설정이다. 드라마에서 마준은 구일준(전광렬)의 아들이 아니다. 한 실장(정성모)과 서인숙(전인화) 사이의 아들이며 마준 또한 이 사실을 알고 있다. 구마준의 열등감은 계급 하락의 공포까지 수반한다. 그리고 그 하락이라는 것이 능력과 혈연관계 때문이라는 사실은 구일중이 철저하게 능력 위주의 가치관을 갖고 있다는 점(비현실적으로)에서 더 큰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마준은 김탁구와 대결적인 갈등관계를 펼쳐 가는 것과 함께, 구일중의 질서에 들어가기 위한 ‘인정투쟁’이라는 갈등관계를 또한 갖고 있는 것이다.

마준에게 처해진 이중의 고난은 그를 악인으로 몰고 가는 것 이외에 계급적 한계를 극복하는 탁구의 퍼스낼러티를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능력과 성품은 모든 것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탁구의 영웅서사는 재벌 후계자의 열등감이라는 촉매를 만나 더 증폭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성공담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이 드라마의 배경이 80년대라는 점이다. 드라마에서는 이런 살리에리 같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에서였다면 그런 감정은 그의 계급만으로 충분히 극복됐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마준의 열등감은 시청자들을 끌어들이는 더욱 강력한 동인이라 할 수 있다. 이 는 현실과의 강력한 대비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일종의 향수와 함께 권선징악적 메시지를 같이 던진다. ‘개천에서 용 나는 것’이 가능했던 80년대와 그렇지 못한 현실, 능력 위주로 기회를 제공하는 어른의 모습…. 어찌 보면 당연한 가치에 시청자들이 열광한다는 사실은 그것에 의한 대리만족을 더욱 강하게 느낀다는 점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어찌 보면 투박한 스토리에 사람들은 ‘왜’열광하는 것일까. 그건 많이 사용된 나머지 콘텐츠로서 가치가 흐려진 권선징악이 ‘아직도’ 실현되지 못했으며 유효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그에 대한 결핍을 느낀 대중들이 소구하는 것이 ‘아직도’ 권선징악이라는 사실. 대중들은 아직도 그것이 실현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적어도 드라마에서 재벌가 ‘아들’ 마준은 탁구를 질투하는, 살리에리여야 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