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중반에 백령도에 설치한 기뢰 100여개가 아직 남아있다”는 전직 해군 최고위급의 증언이 나왔다. 이는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과거 폭뢰를 개조해 적의 상륙을 거부하기 위한 시설을 해놓았는데 모두 수거했다”는 증언과는 배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 4월12일 발매된 한겨레21.  
 
12일 발매된 한겨레21은 <전직 해군 최고위급 “백령도 해역, 70년대 뿌린 기뢰 100여개 있다”> 기사에서 “1970년대 중반 서해에 긴장이 높아지면서 1976년 박정희 대통령이 ‘백령도를 요새화하라’고 지시했고 이 명령에 따라 미군 폭뢰를 개조한 기뢰 136개를 설치했다” “10년 뒤 안전사고를 우려해 회수할 때 채 10%도 회수하지 못했다”는 전직 해군 최고위급 인사의 증언을 보도했다. 한겨레21에 따르면, 이 인사는 “소위로 임관해 기뢰를 설치했고 함장으로 서해안을 수시로 오가던 때 회수 과정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한겨레21이 보도한 이 인사의 증언은 다음과 같다.

“…1974년부터 북한이 서해에 위기를 만들었다. ‘서해 크라이시스(crisis)'라고 불렀고 연평해전 상황과 비슷한 긴장감이 돌았다. 1976년 박정희 대통령이 ’백령도를 요새화하라‘고 지시했다. 해안에는 발목지뢰를, 수중에는 기뢰를 심었다. 해병대 6여단이 증강 배치된 것도 이 때다.
미군이 2차 대전 때 쓰던 폭뢰(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해 배에서 수면 아래로 떨어뜨리는 폭탄)를 개조한 기뢰를 136개 심었다. ‘바께쓰’ 2개를 이어붙인 모양의 원통형으로 무게가 200kg 정도 됐다.…
1986년 안전사고를 우려해 해군과 해병대가 회수했다. 지뢰는 70∼80% 회수했다. 하지만 기뢰는 10%도 회수 못했다. 그때 회수하다 보니 6·25 때 설치된 북한 기뢰도 몇 개 나왔다. 유실된 기뢰를 찾는 작업은 최근까지도 진행했다.”

 

   
   
 
하지만 이 인사는 당시 설치된 기뢰에 의한 천안함 침몰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았다. “물속에서 30년 이상 된, 제작연도 기준으로는 그 2배 이상인 유실된 기뢰가 천안함을 만나 사고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기뢰가 화약 기능 손상이 없다 하더라도 천안함과 충돌하거나 전기적 작용에 의해 폭발할 가능성은 여러 우연이 겹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러한 낮은 가능성이지만, 그래도 그는 “북한의 어뢰 공격 가능성보다는 높다”고 말했다. 북한의 어뢰 공격 가능성이 그만큼 낮다는 얘기다.

 

한겨레21은 이어 천안함 침몰 원인과 관련해 “침몰 사고 원인 파악 이후 예상되는 파장이 역으로 원인 분석 작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북한 어뢰의 흔적이 나올 경우 단호한 대응이 필요할 텐데 한반도의 긴장 고조는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한 6자회담이나 이명박 정부가 공들여온 선진 20개국(G20) 회담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고 “우리 쪽 기뢰에 의한 사고일 경우에도 그에 못지않은 후폭풍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한겨레21은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의 움직임에 주목했다. 한겨레21은 사고 초반부터 북한 연루 가능성을 강하게 부인했고, 최근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국 대사와 월터 샤프 한미연합사령관이 천안함 인양 작업을 지휘하는 독도함을 방문한 것 점 등을 볼 때 “미국 정부가 현재 공표된 것 이상의 정보를 가지고 있고, 한국 정부가 천안함 문제를 자신들이 가진 정보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져갈 가능성을 경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한 안보전문가의 분석을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