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신문 기자 생활을 하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했던 필자들이 당시 5년간 겪었던 보도를 꼼꼼히 되짚어 보는 책을 출간했다. 이들은 노무현 서거의 배후를 언론으로 지목하며 언론의 길을 물었다.

“안타깝게도,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거대족벌언론은 ‘(국민이 맡긴)생선을 먹어치운 고양이’가 되어버린 지 오래다. 그들은 이미 권력의 감시자가 아니다. 약자를 위한 진실과 정의의 대변자도 아니다. 오히려 부정한 권력의 입이 되어 정의와 진실을 팔아 배를 불려왔다.”

필자들은 △막말하고 조롱하기 △말 비틀고 말꼬리 잡기 △무조건 반대하고 흔들기 △사사건건 발목잡기 △황당무계 작문하기 △뒤집어씌우고 발뺌하기 △말 바꾸고 입 씻기 △대국민 사기극 △눈 가리고 아웅하며 부자 편들기 등을 ‘수구언론의 범죄의 기술’이라고 주장했다.

   
   
 
경향·한겨레도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필자들은 무엇보다도 “수구기득 언론의 ‘노무현 죽이기’ 프레임에 그대로 말려들어 노무현과 개혁 진보진영에 대한 국민의 실망감을 확산시키는 데 일조한 책임은 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한미 FTA, 취재시스템 선진화방안, 비전 2030 관련 이들 언론의 대안이 부족했다며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신뢰 잃은 언론에 대한 필자들의 해답은 무엇일까. 필자들은 언론 내부의 개혁보다는 언론 소비자의 책임론에 방점을 찍으며 글을 마무리했다.

“언론개혁을 요구할 권리와 정당성은 언론소비자·시민에게 있다. 무슨 힘으로 되찾을 것인가. …언론개혁의 진정한 상수(常數)는 깨어 있는 언론소비자,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고 믿어보자.”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