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종합일간신문사들이 겪고 있는 존재의 위기는 단순한 경기 침체 탓이 아니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일시적으로 경기가 다시 좋아지면 이들의 경영상의 위기는 다시 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 있으나, 그것은 미봉책에 가깝다"는 것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최근 펴낸 이슈리포트 '신문산업 활성화 지원 방안'에서 성욱제 책임연구원은 신문의 위기를 진단하며 이와 같이 주장했다. 성 연구원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광고주들의 광고지출 삭감이 일시적인 원인이라면, 근본적인 원인은 수용자들의 뉴스접근권 향상에 따른 종이신문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 작동 불가에서 찾았다.

성 연구원은 국내외 종이신문업계의 인력삭감, 조직통합, 발행부수 삭감, 더 나아가 종이신문 폐지 같은 노력과 정부의 지원 노력에도, 높은 광고의존도와 신문구독률 감소라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은 부재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처방전은 신문 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의 근본적인 변화다.

먼저 정부가 신문 지원의 중심 및 향후 비전/전략을 온라인 및 신규 플랫폼으로의 진출 확대 쪽으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종이신문 자체에 대한 지원 자체를 포기하자는 것은 아니나, 미디어 환경변화에 적합한 수익모델 발굴에의 지원으로 집중돼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 신문사들이 온라인 유통에서의 추가적 비즈니스 모델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설명이다.

여기에는 정부지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성 연구원은 제언했다. 지원방법은 선별지원이 아닌 일괄지원이다. 신문지원 정책의 목표 자체가 민주주의 가치보존을 위해 다양한 공론장을 유지하자는 것인 만큼, 일정 기준을 정하고 그 기준에 해당되면 누구든지 일괄적으로 지원 받는 시스템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2008년 현재 약 250억 원 수준인 신문발전기금 역시 대부분 정부출연금으로 운용되고 있는데 다른 나라들의 프레스 펀드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라며, 기금의 주체를 신문 산업의 변화된 유통구조로 이익을 보는 포털사업자 등으로 확대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만하다고 주장했다. 포털의 지위를 '신문 기사의 유통사업자'로 정하고 언론사로서의 책임에 대한 부담은 덜어주는 대신 신문산업에 대한 물질적 후원자로 자리 매김시키는 방법도 제시했다.

   
  ▲ Ed Stein, The Rocky Mountain, 2008. 12. 13(www.editorialcartoonists.com). 성욱제 KISDI 책임연구원 보고서 '신문산업 활성화 지원 방안'에서 재인용.  
 
성 연구원은 이 외에도 △포털 유통 기사에 매칭펀드 형식의 성과급 지원 △정부의 기사이용 저작권의 정당한 보상 △정부 및 공공기관의 온라인 신문 유료구독 △정부 광고의 온라인 신문 집행 등을 구체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포털을 신문산업의 물질적 후원자로 나서게 하는 것은 민간사업자에 대한 기금 조성 압박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꼽힌다.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최진순 한국경제 전략기획국 기자(중앙대 겸임교수)는 '온라인 저널리즘의 산실'에서 성 연구원의 제언에 동의함을 전제로 몇 가지 비판을 내놨다. 최 기자는 "신문산업 위기에 대해 구체적인 처방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보고서로 보인다. 정책지원 결론에 대해선 큰 이견이 없다"며 "그러나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신문산업 위기를 진단한 도입 부분에선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성 연구원이 경제신문과 전문신문의 매출액 성장추이를 들어 신문산업 전체의 위기는 아니라고 본 반면, 최 기자는 신문산업 전반의 지속적인 위기라고 진단했다. 마찬가지로 성 연구원이 신문사닷컴이나 인터넷신문의 매출액이 증가추세여서 종이신문(만)의 위기라고 한 데 대해서도,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가져다 준 트래픽 증가에 이은 소액광고 증가 효과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언론사 웹 사이트의 경쟁력이 스스로 형성된 게 아닌데다가, 포털의존적인 비즈니스 구조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최 기자는 신문산업 위기의 핵심은 뉴스, 더 나아가 저널리즘에 있다며 신문뉴스에 대한 신뢰도를 부차적으로 본 성 연구원과 다른 견해를 내놨다. 최 기자는 "성 연구원의 정책제언은 신방겸영 등 전혀 다른 미디어 질서가 예고되는 시점에서 금과옥조 같은 내용"이라며 "중요한 것은 이 제언을 현실화하고 사회적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도 신문 뉴스룸과 기자들은 성찰, 혁신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