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영상·사진취재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기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달 초부터 이 대통령 내·외부 행사 풀 취재(POOL·공동취재)단의 운영과 관련, 방송사 카메라(ENG)기자 두팀(두개 방송사 4명)이 취재하던 것을 한 팀으로, 신문사 소속 사진기자 2명·통신사 사진기자 1명 등 두명이 취재하던 것을 신문 1명·통신 1명으로 줄였다고 15일 밝혔다.

   
  ▲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남대문시장을 방문해 찐빵을 사먹으며 상인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성창진 청와대 국장(행정관)은 이날 “국무회의나 이 대통령 접견 등 청와대 본관서 열리는 행사에 청와대 전속 사진·카메라요원을 포함해 방송카메라와 사진기자들이 몰려 매우 비좁고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많아 원활한 촬영과 취재방식의 선진화를 위해 방송 한 팀과 사진 한 팀을 줄이기로 했다”며 “어차피 청와대 전속이 들어가 촬영한 것을 제공하기 때문에 취재에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성 국장은 “취재관행을 존중하지만 대통령 주재 회의 때 사진과 방송카메라가 경쟁이 붙어 회의의 집중력이 떨어져 이번에 수를 조정하게 된 것”이라며 “청와대 차원의 지침을 받아 지난 주(10~11일께) 카메라·사진기자단 간사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를 출입하는 카메라기자들은 이미 이달 초부터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청와대 본관 행사에 한 팀만 출입이 허용됐고, 최근 남대문 재래시장과 고추밭 방문 등 이 대통령의 외부 민생행보 때도 한 팀만 동행했다. 이를 두고 한 방송사 청와대 출입기자는 “역대 어느 정권에서도 없던 언론통제를 하려는 것”이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비서동 출입을 제한하자 취재제한이라며 비난했던 한나라당에서 집권한 뒤 정상화하기는 커녕 되레 더욱 언론으로부터의 감시를 벗어나고, 자신들의 유리한 이미지만 내보내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손용석 청와대 사진기자단 간사(한국일보)는 “아직까지 이번 조치의 배경이 무엇인지 공식적인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기자들과 사전협의도 없었던 만큼 알 권리를 침해할 소지가 있는지 따져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기자는 “납득할 만한 설명이 없다면 출입기자들의 입장을 모아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가 임의로 사진 카메라 취재를 허용하지 않은 사례도 빈번해졌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방송사 청와대 출입기자는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북 조문단이 이명박 대통령을 방문했을 때도 많은 기자들이 현장에서 지키고 있었지만 오프닝조차 비공개했다가 2시간이 지나서야 청와대 전속요원이 촬영한 영상을 보내줬다”고 전했다. 그는 또 “한차례라도 촬영을 했던 비상경제대책회의나 수석비서관 회의 등은 아예 비공개”라고도 말했다. 16일 대통령이 주관하는 청와대 본관행사도 비공개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조치가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잇단 민생행보로 지지율이 오르고 있지만 실제 민생을 위한 정책이 부재하고, 경기회복도 경제지표만 내놓을 뿐 실질적인 경기회복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을 만회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김영호 언론개혁시민연대 대표는 “기자가 한팀이 근접취재할 경우 시각도 단면화 될 수밖에 없고, 통제가 용이해진다”며 “이미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해나가기 위해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