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가 연일 기업체 솔본을 상대로 부정적인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매일경제는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일주일 동안 거의 매일 솔본의 투자실패와 자회사 경영부실 등 부정적인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매일경제 기사 데이터베이스를 찾아보면 일주일 동안 솔본과 관련된 부정적인 기사만 무려 8건이 뜨며, 5∼7일에는 하루에 2건씩의 기사가 출고됐다. 이 가운데에는 솔본 계열사에 대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징계를 촉구하는 기자칼럼도 있었다.

솔본은 매일경제가 기업에 피해를 입히려는 악의적인 의도를 갖고 부정적인 기사를 반복 게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매일경제와 해당 기자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

   
  ▲ 매일경제가 연일 솔본과 관련한 부정적인 기사를 쏟아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매경 인터넷에 올라온 솔본 관련기사 일부.  
 

매일경제에 솔본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가 등장한 것은 지난 1일이다. 매일경제는 이날 <불법복제ㆍ야동천국 프리챌 대표 기소>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프리챌이 제공하고 있는 파일공유서비스 '파일구리'에 불법복제물과 성인자료 등이 유통돼 프리챌 대표가 기소됐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지만 매일경제는 프리챌의 대주주인 솔본의 대표이름을 거론하며 한데 묶어 비판했다.

지난 5일에는 <프리챌, 검찰 조사중에도 음란물 계속 유포> 기사가 떴다. 프리챌 파일구리 서비스에서 여전히 룸살롱 안내를 비롯한 각종 불건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의 후속 기사였다. 같은 날 <한때 `투자대박` 홍기태 솔본 회장, ITㆍ금융 경영 손대 대부분 적자>라는 기사도 출고됐다.

매경, 일주일 동안 8건의 솔본 관련 부정적 기사 게재

매일경제는 이 기사에서 "인터넷 포털 프리챌이 문제가 되면서 이 회사에 투자한 솔본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솔본의 홍기태 회장은 한때 '1조 원대 투자' 신화를 만들고 언론사까지 창업하는 등 문어발 식으로 계열사를 추가했으나 최근에는 성과가 안 좋은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매일경제는 다음날인 6일에도 <솔본 계열사 국제전화사업도 편법> 제목의 부정적인 기사를 내보냈다.

매일경제는 같은 날 방송통신위원회가 자사가 보도한 프리챌의 음란물 유통 방조기사에 대해 영업정지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취하기로 했다는 내용도 보도했다. <방통위, 프리챌 음란물 조사 나서>라는 이 기사의 제목만 보면 마치 방송위가 프리챌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선 것처럼 오해되지만 기사를 읽어보면 '조사해보고 사실이라면 조치를 취하겠다'는 정도가 방통위 입장의 전부다. 매일경제는 이 기사에서도 솔본이 프리챌의 대주주라는 것을 빼놓지 않았다.

매일경제의 기사가 의도적이라는 의혹을 지울 수 없는 것은 일주일 동안 집중된 솔본 기사도 그렇지만 바로 매경이 7일 쓴 '기자24시'라는 기자칼럼 때문이다. 바로 하루 전 '방통위가 솔본이 대주주로 있는 프리챌에 대해 행정조치에 나섰다'고 보도했던 매경은 방통위의 미온적인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방통위가 음란물 단속의무를 방기하고 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뒷북만 치는 방통위 음란물 대책> 제목의 기자칼럼에서 매경은 "검찰이 이번에 솔본(회장 홍기태) 계열사인 프리챌의 파일구리를 음란물 유포방조 혐의로 불구속 기소한 것이 처음"이라며 "정작 이러한 사업자들을 단속해야할 방통위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검찰 수사 중인 사안이기 때문에 결과를 지켜본 후에야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방통위와 심의위를 비판했다.

지난해 결정된 상장폐지 요건 해당하는 100여 개 기업 중 유독 솔본만 집중 언급 왜?

매일경제는 기자칼럼을 쓴 같은 날인 7일 <솔본, 자칫하면 상장폐지 될라>라는 제목의 기사도 함께 출고했다. 회사가 문을 닫을 수도 있다는 섬뜩한 제목의 이 기사는 지난해 새로 추가된 상장폐지 요건 가운데 영업손실이 4회 연속이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5회 이상이면 바로 퇴출된다는 조항을 들면서 이 조항에 걸리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솔본을 지목했다.

그러나 매경이 언급한 이 퇴출조항은 지난해에 이미 발표됐던 구문인데다 이 조항에 해당되는 5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한 업체들이 103개에 이르고 6년 연속적자 기업도 78개나 된다. 매일경제가 그 가운데 유독 솔본을 사례로 들고 제목으로 뽑은 것은 제3자가 보더라도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매일경제는 8일에도 예외 없이 솔본 비판 기사를 게재했다. 매일경제는 <"프리챌 존속능력 의문" 회계법인, 감사보고서에서 경고> 기사에서 "프리챌 기업가치가 의문을 받자 자연스레 프리챌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솔본의 홍기태 회장에게 눈길이 쏠리고 있다"며 "홍 회장은 한때 '투자의 귀재'로 불릴 정도로 돈 될 만한 기업을 알아보는 데 탁월한 재주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투자한 프리챌의 최근 상황은 이와는 다소 거리가 멀어 보이기 때문"이라고 부정적인 기사를 실었다. 하지만 프리챌의 적자현황은 이미 매경이 1일자 기사에서도 언급했던 내용으로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솔본 자회사 포커스, 매경과 인쇄대행 계약 해지하고 조선과 계약키로…매경, 연 40억 원 날아가

상황이 이렇다보니 해당 업계에서도 반발하고 있다. 매일경제가 일주일 동안에 무려 8꼭지나 되는 솔본 기사를 쏟아낸 것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 기업을 손봐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솔본 쪽은 매일경제가 연일 비판기사를 쓰는 이유가 창간 때부터 매일경제에 맡겨왔던 무료신문 '더 데일리 포커스'의 인쇄 대행을 올해 하반기부터 다른 신문사로 옮긴다고 통보한 것 때문이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솔본의 한 관계자는 "포커스가 인쇄대행 계약을 매일경제가 아닌 다른 언론사로 옮기겠다고 통보한 뒤부터 부정적인 기사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앞뒤 정황을 따져봤을 때 포커스의 인쇄 대행 계약철회 건이 이번 사태의 배경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포커스는 창간이후 6년 동안 매일경제와 인쇄대행 계약을 체결해왔으며, 매일경제는 이 계약으로 연간 40억∼50억 원 정도의 수익을 올려왔다. 6년이면 총 240억∼300억 원에 이르는 큰 액수다. 포커스는 지난 3월 말 인쇄 계약 해지를 매일경제에 통보했다. 계약서에는 두 달 전에 계약 해지 내용을 통보토록 돼 있다. 포커스는 오는 6월부터는 조선일보에 인쇄를 맡기기로 잠정 결정했다.

솔본 "주가하락 등 피해입어 법적 대응" - 매경 "검찰 수사가 계기, 포커스와 관계 없어"

솔본 쪽은 "매일경제의 행위는 조그만 회사 같은 경우에는 부도가 날 수도 있는 일이다. 실제로 솔본의 주가도 한때 폭락했다가 다시 회복됐다"며 "기업이 이만큼 피해를 봤는데 가만히 있을 수는 없는 일"이라며 법적 대응 입장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매경의 기사가 일부 사실관계가 다르고, 언론의 권한을 넘어 어떤 지향성을 갖고 작성됐다고 판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매일경제는 의도를 갖고 솔본 기사를 쓴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매일경제의 담당 데스크는 "지난 몇 년 동안 회사 차원에서 사이버정화 캠페인을 벌여왔는데 때마침 검찰이 프리챌 대표를 고발하는 등 사안이 발생해 유심히 살펴보게 된 것"이라며 "의도가 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매일경제의 솔본 비판이 포커스와의 인쇄 계약 갈등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 문제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어 할말이 없다"고 밝혔다.

매일경제의 한 관계자는 "포커스 인쇄 대행을 위해 인력과 설비에 투자를 해왔는데 포커스 쪽에서 갑작스럽게 메이저 언론사로 옮기겠다고 계약 해지를 통보해 당혹스러웠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과 기사는 전혀 상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계약 해지 통보와 프리챌 대표 기소가 비슷한 시기에 겹치면서 '오비이락'처럼 돼 버린 것"이라며 "솔본 쪽에서 기사와 포커스 계약 문제를 연결짓는 것이야 말로 사태의 본질을 흐리기 위한 의도"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