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성대경?반민규명위)가 2007년도 조사보고서를 발간해 매일신보 발행인 김선흠 등 8명에 대해 친일언론인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11일 반민규명위의 조사보고서(전 4권)에 따르면 지난 1919년부터 1937년까지(2기) 사회문화 기관이나 조선총독부의 외곽단체에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통치 및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한 행위(반민족행위특별법 2조 13조 17조)를 한 것으로 확인된 친일언론인은 김선흠(매일신보) 김환(매일신보 시사평론) 민원식(시사신문) 이익상(조선·동아일보·매일신보) 송순기 이기세 정우택 홍승구(이상 매일신보) 등이다.

이들이 주로 기자 간부 또는 발행인까지 재임했던 매일신보는 한일합병 이후부터 해방될 때까지 조선총독부의 재정지원과 감독을 받아가며 발행된 총독부 기관지로, 식민통치 정책을 적극 선전한 외곽단체 기능을 했다.

김선흠은 매일신보 발행인이던 1930년 1월16일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광주학생운동을 ‘대죄사’로 폄하했고, 1937년 중일전쟁 즈음엔 일제의 침략전쟁을 옹호하는 호외를 10여 차례 발행했다.

김환은 1922~1928년 친일단체 국민협회의 기관지 시사평론 등에서 논설을 통해 조선독립운동의 ‘무용’과 ‘오류’를 수차례 역설했고, 참정권청원운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민원식은 시사신문 사장을 역임하면서 조선독립을 “폭거”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송순기는 매일신보 편집부 기자로 있던 1921년 신년호 특집 1면에 “조선의 독립운동과 같은 것은 일본에 대한 내란”이라는 글을 기고했다. 이기세는 매일신보 편집 겸 발행인으로 재직하던 1927년 11월22?23일 학생들의 ‘맹휴’ 운동이 벌어지자 이를 ‘불상사’ ‘학부형의 잘못’으로 비난했다.

조선·동아일보 기자를 지낸 이익상은 매일신보 편집국장이던 1933년 8월24일~9월28일 ‘만주기행’이라는 21회 기획성 글을 통해 일본의 침략전쟁과 만주국 건설을 정당화, 찬양했다. 이밖에 정우택 홍승구도 편집 겸 발행인까지 재직하며 일본천황 및 내선일체를 찬양하는 글을 발표했다.

한편, 1920년부터 1937년까지 당시 ‘신문지법’에 의해 조선 내에 조선인이 발행한 신문은 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대동신보 시대일보 중외일보(중앙일보-조선중앙일보로 명칭변경) 민중신문 대구상보(남선경제일보로 명칭변경) 동아상공시보(동아경제신문으로 명칭변경) 기독신보 등 11종이었다고 반민규명위는 전했다.

또한 당시 조선인 언론과 언론인에 대한 통제는 ‘신문지법’ ‘출판법’ 외에 ‘보안규칙’ ‘보안법’ ‘경찰범처벌규칙’ 등 치안관계법과 ‘정치에관한 범죄처벌의 건’ ‘치안유지법’ 등을 통해 이뤄졌다고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