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홍은택 NHN 미디어담당 이사와 최정훈 다음커뮤니케이션 미디어본부장 등 국내 양대 포털 임원의 출석으로 관심을 모았던 22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위원장 조배숙)의 언론중재위원회 국정감사 증인 신문은 예상과 달리 다소 싱겁게 끝났다.

대통합민주신당 쪽에서 진성호 한나라당 이명박 캠프 뉴미디어 담당 간사의 "다음과 네이버에 연락해 오마이뉴스 '마사지걸' 보도를 막았다", "네이버는 평정됐고, 다음은 댓글과 블로그를 주시해야 한다" 등의 포털 관련 발언을 비판하며 날을 세웠지만 포털 쪽은 "들은 바 없다"고 답변했다. 정작 증인을 신청한 한나라당 쪽에서는 뉴스 편집 인력에 대한 질문, 정부의 '취재지원선진화' 방안에 대한 입장 등 평이하거나 포털과 무관한 내용을 질문했다. 

   
  ▲ 홍은택 NHN 미디어담당 이사(왼쪽)와 최정훈 다음커뮤니케이션 미디어본부장이 22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언론중재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문광위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창길 기자 photoeye@  
 
진성호 간사 포털 발언 쟁점
 
이광철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은 "이명박 캠프 뉴미디어 간사인 진성호씨가 '네이버와 다음에 연락해 오마이뉴스의 마사지걸 발언 보도 기사가 안 나갔다'고 했다"며 사실관계 여부와 이에 대한 견해를 물었다. 이 의원은 "진 간사는 '네이버는 평정됐고, 다음은 폭탄'이라는 발언도 했다"며 "언론자유를 말하면서 이런 발언을 하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홍은택 이사는 "연락을 하려면 저에게 해야하는데 진 간사에게서 연락 받은 바 없다"며 "(진 간사의 발언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봤을 때 적절치 못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전병헌 의원도 진 간사의 '네이버 평정, 다음 폭탄' 발언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홍 이사는 "네이버가 평정됐냐"는 전 의원의 질의에 "전혀 아니다"며 "발언에 대해 제 의견 묻는다면 굉장한 유감이지만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네이버가 진 간사의 압박성 발언에 대해서는 침묵하며, 선거법 위반을 이유로 정치 기사 댓글을 일원화한 것에 대해 "(네이버가) 대선을 앞두고 일반 유권자들이 선거법의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댓글을 일원화한다고 하는 등 선거법을 예민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정작 네이버의 뉴스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발언에 대해 '아무 것도 아니다'라고 하는 것은 뉴스 총책임자로 적절치 않다"고 비판했다.

전 의원은 "네이버와 다음이 신뢰도에 심대한 타격을 주는 발언에 대해 소극적 반응을 보이는 것은 심대한 인식의 문제이거나 진 간사의 발언을 무의식 중에 인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댓글 일원화, 네티즌 입 막아"

네이버가 선거시기에 정치기사의 댓글을 일원화한 것도 쟁점이 됐다. 이광철 의원은 "네이버는 박철, 옥소리 부부 이혼 같은 사생활에 대한 부분이나 인신공격이 이뤄지는 영역에 대한 댓글은 남겨두고 정치관련 기사댓글만 일원화했다"며 "이렇기 때문에 진 간사가 네이버가 공정하다고 말하는 것 아니겠느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네이버는 2004년 (대통령) 탄핵과 총선 때에도 정치기사 댓글을 감추지 않았고, 정통부의 제한적 본인확인제와 선관위의 선거기간 실명제에서도 유독 정치기사의 댓글을 감추는 것 자체가 네이버가 평정됐다고 볼 수 있도록 만드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천영세 민주노동당 의원도 "정치 댓글 일원화에 대해 네티즌들이 '민주주의의 쇠퇴다' '네이버가 빅브라더냐' '네티즌의 입을 일방적으로 막은 것 아니냐'고 비판하고 있다"며 댓글 일원화를 비판했다.

이에 대해 홍 이사는 "댓글 일원화는 진 간사의 발언 이전부터 예고된 것이고, 선거법 때문에 부득이하게 하게 된 것"이라며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지 않는 것과 공직선거법 위반을 막기 위한 두 가지를 조화시키기 위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NHN "포털 대선 서비스 외부 용역 의뢰"

김재윤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은 "대선미디어연대 발표에 따르면, 네이버는 BBK 주가조작 사건을 10월4일 3건만 노출하고, 그 이후에는 노출을 안 하는 등 이명박 후보 홍보사이트로 전락했다"며 정치적 공정성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홍 이사는 "대선미디어연대의 조사는 객관성과 전문성이 부족하다. 포털 뉴스 편집을 어떻게 정량화할지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혼선이 생긴 것"이라며 "포털에서 어떤 식으로 뉴스가 서비스되고, 당별로 몇 건씩 서비스되는지 등을 외부에 조사를 의뢰해 발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최정훈 다음 본부장도 "특정 시기에 이슈가 몰리는 정치기사 특성 때문에 하루면 하루, 3일이면 3일, 그렇게 (잘라서) 보면 편향적으로 보일 수 있다"며 "모니터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포털의 정체성에 대한 질의와 답변도 오갔다. 최 본부장은 다음에 대해 "뉴스매개 사업자이고, 포괄적으로 콘텐츠 매개 사업자"라고 말했고, 홍 이사는 "언론사 기사를 전달하는 재매개서비스를 하지만 네이버 자체는 검색을 중심으로 한 정보포털을 지향한다"고 밝혔다. 두 포털 임원은 포털의 언론중재법 적용에 대해서도 기존에 밝힌 것처럼 "동의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