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측이 부채를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라. 그러면 임금동결도 받아들일수 있다.”

전북일보 노조가 최근 회사에 내놓은 이색적인 제안이다. 전북일보는 현재 85억원에 달하는 부채를 떠안고 있다. 17층 높이의 사옥 건설과 새로운 윤전기를 도입하면서 부채가 급격히 늘어났다. 주주들의 신규 투자 없이 금융권으로부터 돈을 빌어 건물을 짓고 윤전기를 사온 결과다. 이에 따라 장사를 아무리 잘해도 수익의 상당부분이 금융권 이자로 빠져나가는 악순환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전북 노조는 따라서 회사측이 근본적인 경영구조를 개선하지 않는한 ‘경영 위기’로 표현되는 회사측의 ‘적자 타령’이 계속 될수 밖에 없다는 시각이다. 전북 노조가 이번 임단협 협상의 초점을 단순한 임금 문제 등에 국한 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마인드 개선’에 두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전북 노조는 순차적으로 부채를 해결하도록 임금 협상과 연계한다는 전략이다.

지방지의 재무구조 취약은 비단 전북일보만의 문제는 아니다. 일부 지방지들의 경우 자기 자본 대비 부채 비율이 너무 높다. 실제로 자본이 잠식된 언론사가 상당수에 달한다. 지난 94년도 회계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지 가운데 광주매일, 광주일보, 대전일보, 무등일보, 부산매일, 영남일보, 전남일보, 전북일보, 중도일보,충청일보 등이 자본이 잠식된 상태이다. 설혹 자본 잠식에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일부 지방지는 부채비율이 무려 1천%이상을 상회하고 있다.

부산일보 등 경영여건이 나은 극소수의 신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방지가 일반 기업체의 평균 부채 비율을 상회하는 ‘고부채’ 현상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94년 한국은행이 산출한 산업평균비율은 4백41%였다.

이처럼 일부 지방사의 부채 규모 및 부채 비율이 높은 것은 증면등 언론사간의 무한 경쟁 과정을 거치면서 신규투자가 급속하게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대주주들의 투자가 정상적인 형태로 진행되지 않았던 탓이다.

게다가 최근들어 전반적인 신문업계 불황과 맞물려 재정구조가 열악한 지방지의 경우 이러한 경기 영향이 더욱 크게 미쳐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전북일보의 노사협상은 지방지 경영의 일차적 과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는 시금석으로 볼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