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강성구 사장 연임에 대한 김현철 씨의 개입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난해 강성구 사장 퇴진을 요구하며 24일간 벌였던 MBC노조의 파업에 대해서도 재평가가 내려져야한다는 여론이 높다.

당시 MBC노조의 파업이 강사장이 대리하던 집권세력의 방송장악 음모에 맞선 정당한 투쟁이었다는 노조측 주장이 명백해진 만큼 파업에 대한 사측의 평가도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인 것이다. 특히 이와 관련, MBC 내부에서는 MBC 사측이 파업과 관련 징계를 내렸던 노조 간부들을 복권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지난 10일 “현철씨가 96년초 KBS, MBC 사장 선임 2~3일 전에 연임 사실을 알려주었다”는 박경식씨의 증언은 강성구 사장의 연임이 권력의 사전 각본에 따른 결정임을 드러내 주었다.

지난해 3월 13일 개최된 주주총회에 앞서 “강사장 연임이 KBS 홍두표 사장의 연임과 함께 청와대에서 이미 결정됐다는 소식이 사내외 믿을만한 소식통을 통해 들어오고 있다”며 제기했던 MBC 노조의 사전 각본의혹이 1년여 만에 사실로 입증된 것이다.

인사의 공정성은 방송의 공정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강성구 사장 퇴진을 요구하며 벌렸던 노조의 파업이 정당한 행위였던 것이다. 따라서 사측이 파업에 대한 책임을 물어 지난해 6월 25일 최문순 노조위원장 해고, 박정근 사무국장 6개월 정직 등 노조간부 6명에게 내린 중징계 역시 원인무효가 되어 버린 셈이다.

그러나 아직도 이들에 대한 복권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몰론 사측 역시 노조 간부들에 대한 복권을 내심 바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과감하게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를 두고 MBC 내부에서는 “이득렬 사장이 아직도 현정권의 눈치를 살피고 있기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박경식 씨의 발언으로 사측으로 공이 넘어간 노조간부들에 대한 복권 문제는 이득렬 사장의 방송 독립 의지의 바로미터가 되고 있다.

한편 박씨의 발언으로 강사장의 연임에 대한 권력 개입을 전면 부인해 왔던 MBC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권력의 ‘거수기’ 노릇을 해왔다는 그간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 방송문화진흥회의 이사선임 구조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논의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박씨의 증언으로 MBC에는 방송의 독립성 문제와 관련해 여러가지 시험들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