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는 조선(북한)동포들을 돕기위한 사회각계의 모금운동이 폭넓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한겨레를 비롯한 일부 언론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들이 사설을 통해 ‘북식량난은 전적으로 북한정권의 책임’이라며 모처럼의 남북화해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조선일보는 12일자 ‘북한추락 대비할 때’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감상적 동포돕기 차원으로 해결할 만큼 쉬운일이 아니다…민간차원의 북한동포돕기 캠페인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을 따름이다”라며 사회각계의 동포돕기 운동을 ‘감상적’ 행동이라고 평가절하하고 나섰다.

조선일보는 연이어 14일자 ‘북기아 우리탓이라고?’, 15일자 ‘북은 자조하고 있나?’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북쪽 주민들이 굶어죽어가고 있는 이유가 김일성-김정일정권의 원천적인 잘못에 있다는 비난은 좀처럼 하지 않는다” “따지고 보면 우리도 식량자급률 27%밖에 안되고 외채가 1천억 달러에 이른 빚더미에 앉은 신세”라며 북한동포돕기운동을 적극적으로 ‘제어’하고 나섰다.

동아일보도 14일자 ‘북한동포돕기의 딜레마’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사실상 조선(북한)에 쌀을 지원해서는 안된다는 식의 주장을 폈다. “인도주의적 선의가 배반당한 경험을 우리는 너무 많이 기억하고 있다…북한동포를 돕는 행위가 북한의 전시체제를 돕는 행위가 된다면 식량돕기운동에 앞장선 사람들도 바라는 바는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아일보 17일자 ‘북한기근과 군비축소’, 한국일보 17일자 ‘북한, 군축으로 식량해결을’이라는 사설도 굶주리는 동포들의 참상을 외면하기는 마찬가지다. 식량난은 조선(북한)정권의 책임이며, 군사비를 줄이면 식량난은 자연히 해소될 것이기 때문에 굳이 도울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경향신문 17일자 ‘조용하게 도울순 없나’ 제하의 사설은 “공명심이 앞서거나 마치 경쟁이나 하듯이 곳곳에서 과열된 분위기가 눈에 띄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주장을 폈다.
조선(북한)체제의 위기와 붕괴를 부각시키는 사설도 눈에 띈다.

조선일보 12일자 ‘북한 추락 대비할 때’, 한국일보 12일자 ‘고조되는 북한위기론’은 조선(북한)붕괴위기론이 고조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도 좀처럼 조선(북한)식량난을 도와야 한다는 주장은 하지 않았다.

오히려 “북한에 식량만 보내주면 굶주리는 동포를 살릴 수 있고 전쟁이나 일으키려는 충동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감상적…북한이 스스로 붕괴하는 경우와 무력도발의 상황에 대처하는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작동하라”며 강경대응을 부추겼다.

이같이 대부분의 신문 사설이 조선(북한) 쌀지원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과는 달리 ‘동포돕기 운동’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는 신문사는 한겨레와 중앙일보 등이다.
한겨레가 앞장서서 ‘아! 굶주리는 북녘’이라는 기획을 연재하고 있는 것과 함께 사설 등을 통해 정부의 조선(북한) 식량 지원을 거듭 촉구했다.

중앙일보는 11일자 ‘북한 기근 모두 관심을’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늦기전에 온 국민이 북한동포돕기에 적극 관심을 표시할 때”라고 제안한데 이어 14일자 사설 ‘북한위기 관리체제’에서도 “북녘동포가 굶어죽지 않게 배려하는 것도 그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는 등 그나마 조선(북한)동포돕기 운동을 지지하는 차별성을 보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