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에 직면한 신문사들은 감량 경영 체제로 전환하는 한편, 회사 차원의 자구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해 6백억여원의 적자를 기록한 세계일보가 지난 2월 연간 26억여원의 적자를 보인 출판국을 폐지하고 별도 법인으로 전환함으로써 본격적인 감량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세계일보는 출판국 분리에도 불구하고 경영 상황이 악화될 경우 현재 발행 중인 2개 월간지 가운데 하나를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는 출판국 분리 방침 발표에 앞서 전 사원을 대상으로 상여금 4백% 삭감 계획을 추진하다 반발에 부딪혀 이를 백지화하기도 했다.

지난해 윤전기, CTS 도입 등 시설 투자를 위해 4백억원을 증자한 바 있는 서울신문 역시 지난달 교열부, 수송부 등 3개 부서를 폐지하면서 90여명을 명퇴시켜 노조의 강한 반발을 사기도 했다. 서울신문의 이같은 감원 조치는 올해 CTS 등 장비 도입에 따른 인력조정의 측면도 있지만 인건비 절감을 위한 조치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서울신문은 이같은 감량 조지 뿐 아니라 자구책의 일환으로 전자식 IC카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상여금 4백% 삭감 문제로 노사간 신경전이 계속되고 있는 한겨레의 경우도 회사차원의 자구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노사간 임금교섭 과정에서 상당 부분 조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지난해 30억여원의 적자 등 경영난을 감안할 때 경영진쪽이 상여금 삭감이란 기본 방침을 고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겨레는 또 자구책의 일환으로 외간사업, 통신판매 사업을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여행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경영 실적이 70억여원의 적자로 나타난 한국일보도 대책 마련에 부심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최근 감면을 검토하고 있는데서 보듯 한국일보 안팎에선 자구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지난해 말 전임 장재국회장이 경영난 타개를 위해 자산 매각을 검토한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최근 연론계 일각에서 한국일보의 ‘자금악화설’이 퍼지기도 했으나 한국일보측이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해 일단 진화된 상태이다.

이렇듯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한 신문사들의 감량경영 체제와 자구책 마련 노력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설상가상으로 한보 사태 이후 금융권의 자금 흐름이 꽁꽁 얼어붙은데다 국내 경기가 좀처럼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신문사들의 주수입원인 광고 시장에도 여파가 몰아닥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신문사들이 경영난 타개책으로 감원이나 급여 삭감 등의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신문사들이 단기적 효과를 위해 내부 구성원들의 반발을 불러올 것이 분명한 감원이나 임금 삭감을 강행할 경우 당장은 경영 수치상으로 숨통을 트게 될지는 모르나 장기적으로는 내부 구성원의 불신감만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경영난의 책임을 사원들에게만 부담지우려는 경영진의 논리는 설득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