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유통원과 신문발전위원회 등 신문산업 지원을 위해 탄생한 기구들에 대한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가 오는 23일 실시된다.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신문산업의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신문업계의 현 주소를 알 수 있는 국감 요구자료들을 모았다.

신문매출액 점유율, 발행부수 점유율

꾸준히 오름세를 보인 조선 중앙 동아 등 이른바 큰 신문사의 매출액 점유율이 2004년부터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행부수를 기준으로 시장점유율을 계산하면 조중동 3사가 여전히 75%를 넘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중동 매출액 점유율 2004년부터 감소…발행부수 점유율은 3사 75% 넘어=문화관광부가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신문사별 시장점유율 현황을 참고해 한국언론재단이 발행한 한국신문방송연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1년 25.1% 점유율을 기록했던 조선은 2002년 25.6%, 2003년 26.8%까지 올랐다가 2004년 25.4%, 2005년에는 24.5%로 감소했다. 이 시장 점유율은 지방신문을 제외한 10개 전국단위 종합일간지의 총매출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신문사별 시장점유율 현황  
 
중앙도 2003년 22.9%까지 점유율이 올랐으나 2004년 22%, 2005년 20.9%로 하락했다. 동아 역시 20.6%(2003년)까지 올랐던 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18.9%, 18.3%로 줄었다. 2001년 64.6%였던 3사의 매출액 기준 시장점유율은 2005년 63.7%로 0.9% 포인트 줄었다. 큰 신문사들의 시장점유율이 2004년 이후 줄어들고 있는 것은 전체 광고시장에서 신문 매체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점차 주는 등 미디어 환경 변화로 인해 광고와 신문 매출액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일보는 2001년 13.9%였던 점유율이 2005년에는 5.5%로 5년 사이 8.4% 포인트나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경향은 2004년과 2005년 점유율이 늘었고, 한겨레는 2004년에 약간 늘었다가 지난해 다시 줄었다.

그러나 발행부수를 기준으로 한 조중동의 시장점유율은 7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부는 발행부수에 대한 자료 요청에 “공식적인 통계가 없어 정확한 시장점유율 산정은 어렵다”며 미디어경영연구소가 2004년 말을 기준으로 발행부수를 추정해 내놓은 자료를 첨부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전국단위 10개 종합일간지 가운데 조중동의 발행 추정부수는 649만부, 나머지 7개사의 발행부수는 212만3000부였다.

헌법재판소는 조선·동아 등이 제기한 신문법 헌법소원에서 시장지배적사업자 조항에 대해  지난 6월 “취급분야와 독자층이 완연히 다른 일반일간신문과 특수일간신문 사이에 시장의 동질성을 인정하고 있는 점”을 위헌 결정의 한 이유로 꼽았었다. 경제지와 스포츠지, 지방지를 모두 포함해 시장지배적사업자를 규정해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헌재 결정을 참고해 전국단위 종합일간지만을 대상으로 계산해 보면, 조중동은 발행부수 시장의 75.4%를 점유하고 있는 셈이다.

신문유통원 운영 문제

문화관광부가 매칭펀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언급해 논란이 일었던 신문유통원에 대해 당분간은 충분한 국고가 지원돼야 한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기본적인 공동배달망을 구축하기 위해 내년에 350억 원의 예산이 지원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요 일간지 소유지분 현황(위), 전국 일간지 발행부수 추정자료 (출처=문화부 국감 제출 자료)  
 
▷“매칭펀드 필요하지만 초기엔 국고 지원 충분히 해야”=문화부는 매칭펀드에 대한 견해를 묻는 국회 문광위 의원들의 질의에 “매칭펀드 방식은 예산의 민간경상보조에서 일반화된 것으로서, 한정된 예산으로 민간사업을 효율적으로 보조하고 낭비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운영비의 일정 부분은 자체적으로 조달하고 국고도 전액이 아닌 일정부분을 지원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신문유통원의 경우에도 참여 신문사의 도덕적 해이를 예방하고 공동배달사업에 적극 협조하도록 하기 위해 공론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화부는 “신문유통원 설립 및 초기 운영과정에서 나타났듯이 신문사의 자본 참여가 어려운 상황에서 자체수입원의 확보에 한계가 있는 만큼,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초기에는 국고 지원을 충분히 하고 단계적으로 자체수입원의 확대에 따라 운영비의 국고지원비율을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 신문사별 재무구조 현황 (단위=100만원)  
 
문화부는 특히 “신문 공동배달사업은 유통 인프라 구축사업으로서 사업초기 예산을 집중 투자해 공배망를 조기 구축해야만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업 1차년도의 시범운영을 거쳐 센터 개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2007년에는 적정한 규모의 예산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배달망을 조기에 구축할 경우 전문신문 등 부대사업의 추진이 가능해져 배달 수수료 등의 수익성이 제고되며, 정부가 적극적이고 규모 있는 예산을 지원함으로써 유통 인프라 및 배달망이 조기 구축돼야 공배사업 참여에 다소 유보적 입장을 갖고 있는 신문사들의 참여도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