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과 관련된 최근 언론보도에 대해 기자들은 스스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또 기자들은 ‘공약이나 정책에 대한 검증보다는 당선가능성에 집중된 경마식보도’를 대선보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관련기사 10면

한국언론연구원이 전국의 신문, 통신 및 방송사에 종사하고 있는 기자 1천명을 대상으로 2년마다 실시하고 있는 ‘전국기자 직업의식조사’에서 ‘대선관련 신문보도 방향이 올바른가’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74.5%가 ‘그렇지 않다’고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또 방송보도에 대해서는 78.3%가 ‘그렇지 않다’고 답변, 신문보도내용에 대한 부정적 응답률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대선보도의 문제점’으로는 대다수의 기자들이 ‘공약이나 정책에 대한 검증보다는 당선가능성에 집중된 경마식 보도’(59.5%)를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또 기자들은 ‘특정후보에 대한 편파보도’(18.5%),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을 부추기는 양비론적 보도’(9.8%), ‘후보들의 비리나 실수를 밝히는 폭로보도’(7.6%)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선후보 TV토론의 적합한 진행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42.1%가 ‘모든 후보간 토론’을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모든 후보와 패널간 토론’(31.6%), ‘개별 후보자간 1:1 토론’(20.8%) 방식을 꼽았다. 반면 최근 TV토론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개별 후보와 패널간 토론’이 적합하다는 의견은 5.0%에 그쳤다.

‘현재까지 실시된 대선후보 TV토론의 문제점’으로는 ‘패널리스트 또는 질문내용 선정의 객관적인 기준 미흡’(54.5%), ‘청문회 형식의 진행방식’(28.9%), ‘패널리스트의 자질’(11.8%) 등을 꼽았다.

‘TV토론의 주최자’로는 ‘사회단체나 시민단체’(52.4%)가 가장 적합하다고 보았으며, ‘TV토론에 소요되는 비용문제 해결방안’으로는 ‘완전공영제’(71.9%)를 도입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패널리스트 구성방식’은 ‘사회 각 분야 대표와 언론인, 일반시민의 연합’으로 구성(54.6%)하는 방식과 ‘학계, 노동계, 시민단체 등 사회 각 분야의 대표’(38.1%)로 구성되는 방식에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