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시민들은 언론을 통해 생명윤리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얻고 있지만, 언론은 생명복제에 대해 국내외 연구진들의 결과를 다른 시각으로 보도하는 등 객관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 이은정 과학전문기자는 최근 서울대 대학원 의학과에서 통과된 박사논문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논문은 지난 97년 복제양 돌리의 탄생을 기점으로 국내에서 본격화하기 시작한 생명복제 윤리논쟁의 주체들이 어떻게 논쟁을 진행하고 합의점에 이르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기자는 생명복제 논쟁에서 한 논쟁 주체이자 논쟁의 장인 '언론'에 대해서도 흥미있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논문에 따르면, 국내 언론은 복제양 돌리의 탄생에 대해 복제기술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생명복제에 따른 윤리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생명공학기술이 한국에서 이루어졌을 때는 기술개발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자세히 다루면서도 윤리적인 논란을 다루는 비중은 돌리 때와 비교할 때 훨씬 낮았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이유에 대해 논문은 생명공학 등 과학기술분야의 뉴스는 대부분 전문가에 의존해 작성할 수밖에 없는 보도 시스템을 꼽고 있다. 또한 언론이 과학기술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라는 이데올로기에 충실하고, 그날의 뉴스를 즉각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 보도부터 먼저 해야 하는 것도 한 원인으로 꼽혔다.

또한 생명윤리문제 논쟁의 장으로서 언론은 충실한 보도를 했지만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는 객관적인 보도보다는 논쟁 주체로서 과학자들의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기자는 "언론은 생명복제와 윤리 분쟁을 대립적 각도에서 과학자와 시민단체·학계·종교계 등 두 그룹의 찬반 논쟁으로 다루면서 법안 제정 과정에서 과학자의 목소리를 더 많이 게재했고, 이러한 보도가 법 제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서로 다른 입장과 철학을 가진 사람이 다르게 생각하는 사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다양한 논의를 통해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