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가 김수근씨가 설계하고 현대건설이 지은 문화방송-경향신문 사옥. 1971년 5월31일에 준공됐다. ⓒ경향신문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경향신문 사옥이다. 자세히 보면 건물 상단부의 창문 모양이 TV브라운관을 닮았다. 이 건물이 본래는 방송사 건물이었음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상징이다.

   
▲ 창문 클로즈업. 스스로가 방송사 건물임을 웅변하고 있는 듯 하다. ⓒ경향신문
   
▲ 창문 뿐만 아니라 옥상 테두리벽도 브라운관 모양으로 만들었다. ⓒ정은경 기자

   
▲ 브라운관을 통해본 북한산. ⓒ정은경 기자
경향신문 사옥은 원래 소공동 74번지에 있었으나 74년 MBC와 합병되면서 이 건물로 옮겨왔다. 당시 경향신문은 문화체육관(지금의 팝콘하우스, 아래 사진) 건물 1, 2층과 지하를 이용했다. 문화체육관은 위 사진에는 보이지 않는다.

   
▲ 문화체육관, 김일체육관 등으로 불렸던 팝콘하우스. 지금은 뮤지컬 공간으로 쓰이고 있지만 <명랑운동회> 등 한때 ‘잘나갔던’ MBC 프로그램들이 여기에서 녹화됐다. ⓒ정은경 기자
74년 MBC와 합병, 80년 언론기본법으로 다시 분리

여기서 잠깐 MBC와 관련된 경향신문의 역사를 간단히 설명해야 할 것 같다. 경향신문은 지난 74년 7월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MBC와 통합한 데 이어 그해 11월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개편해 매스커뮤니케이션 기업으로 새 출발했다.

새로 설립된 문화방송·경향신문의 경영권은 5·16장학회(현 정수장학회)가 소유했다. 1980년 언론기본법이 실시되면서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을 분리해 신문과 방송 2개의 독립된 회사로 되었다. 언론기본법은 언론기업의 겸영금지를 규정하고 있어 경향신문과 문화방송은 이듬해인 81년 4월1일자로 각각 독립했다.

신문사에 웬 스튜디오?…TV브라운관 모양 본뜬 창문 눈길

원래 방송사용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보니 사내 곳곳에 신문사 건물로는 어울리지 않는 구조물들이 종종 눈에 띈다. 

기본적으로 건물 내벽이 엄청 두껍다. 그 속에 박힌 철근 굵기도 요즘 짓는 건물에 비하면 두배가 넘고 가닥수도 많다는 게 경향신문 김상훤 시설관리팀장의 설명이다.

경향신문이 소공동에 있었던 지난 74년 입사해 지금까지 30년이 넘도록 경향신문 시설의 유지 보수를 맡고 있는 김 팀장은 "튼튼하게 지으려던 것도 있겠고 방송사 건물이다보니 방음도 고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6층 편집국 복도. 천정으로 뻗어있는 빔(beam)은 5층에서 올라와 6층까지 관통한다. MBC가 건물을 사용할 당시 두층을 터서 스튜디오 공간으로 활용했던 곳이다. ⓒ정은경 기자
   
▲ 편집국 편집부 사무 공간. 기둥을 없애고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썼으면 좋겠지만 건물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허물지 못한다. ⓒ정은경 기자
   
▲ 창만 남은 라디오 스튜디오. 5층에는 라디오 제작국이, 2층에는 TV 스튜디오, 탤런트실 등이 있었다. ⓒ정은경 기자
   
▲ 드라마 녹음 및 효과실. 지금은 섹션 ‘매거진X’팀이 사진 스튜디오로 사용하고 있다. ⓒ정은경 기자
   
▲ 지금은 문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그러나 떼어낼 수도 없는 철문. ⓒ정은경 기자
그동안 개조를 많이 하기도 했고 이제는 본래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곳곳이 낡아 곳곳에 방송사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MBC, '정동사옥'에서 방송 송출

   
▲ MBC M/W 송출실. M/W는 Microwave를 줄여쓴 것. ⓒ정은경 기자
경향신문에 MBC의 '흔적'만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실제 방송에 쓰이는 곳도 있다.

본관 10층에는 실제로 방송을 내보내는 'MBC 정동사옥'이 있다. '사옥'이라고 부르기에는 너무나 소박한 5평 남짓한 작은 사무실이다. 간이침대 몇 개와 간단한 방송송출 장비가 집기의 전부다. 주로 남산을 배경으로 한 일기예보를 할 때 쓰인다고 한다. 

   
▲ M/W 송출실 내부. 거의 매일 MBC 관계자들이 이곳을 찾는다고 한다. ⓒ정은경 기자
신문사에 웬 송신탑?

경향신문 옥상에 설치된 송신탑이다. 위성 수신을 위한 접시는 다 떼내었지만 카메라는 하나 남겨뒀다.

   
▲ 경향신문 옥상에 우뚝 선 송신탑. 사진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무선으로 조종되는 카메라가 하나 달려있다. ⓒ정은경 기자
   
▲ ‘본 건물은 보안상 옥상에서 사진촬영을 할 수 없으며 또한 출입을 엄격히 통제합니다’. 통제구역은 ‘관계자’에게만 개방된다. ⓒ정은경 기자
   
▲ 송신탑을 보기 위해선 이 계단을 통과해야 한다. ⓒ정은경 기자
   
▲ 경향신문 옥상에서 찍은 청와대. 아주 오래전 어떤 사람이 경향신문 옥상에서 청와대를 바라보며 사진을 찍었는데 플래시가 터지는 것을 본 청와대 관계자로부터 바로 전화가 왔다고 한다. 물론 믿거나 말거나. ⓒ정은경 기자
처음 이 건물을 지었을 때만 해도 이만큼 높은 건물이 없었기 때문에 이 옥상에 오르면 광화문 일대와 북한산, 경복궁, 청와대가 한눈에 들어왔다. 지금은 높은 건물들이 워낙 많이 올라가다보니 앞뒤로 꽉꽉 막혀 잘 보이지도 않지만 말이다.

MBC는 가도 정수장학회는 남아

   
▲ 재단법인 정수장학회. ⓒ정은경 기자
   
▲ 정수장학회 이사장인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자주 드나들었을 법한 이사장실. ⓒ정은경 기자
경향신문, MBC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게 정수장학회다. MBC와 경향신문이 분리되면서 MBC 사옥은 여의도로 옮겨갔지만 정수장학회는 아직 정동 사옥에 그대로 남아있다.

예전에는 박근혜 이사장이 경향신문 본관 11층에 자리잡고 있는 정수장학회를 가끔 찾아오기도 했었는데 한나라당 대표를 맡고 나서부터는 그나마도 발걸음이 뜸해졌다는 게 경향신문 관계자의 전언이다.

MBC가 호텔을 운영했다고?

   
▲ 건축가 김수근씨가 설계하고 현대건설이 지은 문화방송-경향신문 사옥. 1971년 5월31일에 준공됐다. ⓒ경향신문

건축가 김수근씨는 누구?

경향신문 사옥, 정확히 말하면 MBC 사옥을 설계한 건축가 김수근씨는 지난 86년 세상을 떠났다. 경향신문 사옥 설계와 관련한 자료도 이제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 건물을 포함해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내 올림픽 주경기장, 마산 양덕성당, 이란 테헤란의 엑바탄 주거단지, 자유센터 등이 그가 설계한 작품이다. 지난 66년 종합예술지인 월간 <공간>을 창간했고 71년 '공간사랑'을 건립해 문화활동 장소로 개방했다.
 
김수근 씨는 1982년 미국건축가협회 명예회원이 되었고 국민포장(國民褒章: 1970), 미국 범태평양건축상(1971), 이탈리아문화공로훈장(1979), 철탑산업훈장(1984), 은탑산업훈장(1986) 등을 받았다. 자료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주요 연보>

1931 00 : 2월 20일 함경북도 청진시 신압동에서 김용환과 김우수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31 00 : 아래로 남매가 있었으나 어릴 때 모두 사망하였다.
1938 07 : 청진의 천마소학교에 입학. 그러나 여기서 한 학기만 다니고 서울 교동국민학교로 전학.

1944 13 : 교동국민학교를 졸업하고 경기중학교에 입학
1946 15 : 건축을 전공한 미군병사로부터 건축을 처음 접하고서 건축가가 되겠다는 결심을 굳힘
1950 19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 입학. 이 당시 서울대학교 교수 로 있던 건축가 김중업을 소개받음.
1950 19 : 그러나 한국전쟁의 발발로 학업은 중단되고, 부산으로 피난.

1951 20 : 일본으로 밀항
1952 21 : 와세다 대학 편입이 결정되나 등록금이 없어서 등록을 포기.
1954 23 : 동경예술대학 건축과에 입학. 여기서 스승인 요시무라 준조 를 만남.
1958 27 : 동경예술대학을 졸업하고 동경대학교 대학원 다까아먀 연구실에 진학.
1958 27 : 일본인 矢島道子 여사와 결혼.
1958 27 : 졸업작품 제목은 < 커뮤니티 센터 >,
1958 27 : 동경원 과 유락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을 설계. 논문 < 역전점포계획...연구 > 발표.

1959 28 : < 수도극장 리노베이션 > 계획.
1959 28 : 박춘명, 강병기 와 함께 < 국회 의사당 현상설계 > 에 참여.
1960 29 : 동경대학교 대학원 졸업.
1960 29 : < 국회의사당 현상설계 > 당선. 박춘명, 강병기 와 함께 국회의사당 설계사무소 개소.
1960 29 : 장녀 理理 출생

1961 30 : 5.16 군사쿠데타로 인해 국회의사당 설계 중단. 국회의사당 설계사무소는 해체.
1961 30 : 종로구 송현동에 김수근 설계사무소 개소. 여기에 윤승중이 참여.
1961 30 : 정인국 의 소개로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강의시작. 국전초개작가.
1962 31 : < 삼호 공업사 >, < 오양 빌딩 > 설계. < 남산 음악당 >, < 울산 도시 계획 > 계획

1963 32 : 김수근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최순우와의 만남.
1963 32 : < 자유 센터 >, < 타워 호텔 >, < 고대 의대 부속병원 > 등을 설계
1965 34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의 발족과 함께 부사장으로 취임.
1965 34 : < 남산 맨션 >, < 부여 박물관 >, < 몬트리올 박람회 전시관 >, < 한국일보 사옥 > 등을 설계

1966 35 : 김수근 설계사무소가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건축부에 통합.
1966 35 : 종합예술지 < 공간 > 발행.
1966 35 : 장남 度勳 출생.
1966 35 : < KIST 본관 >, < 문화방송 사옥 >, <종로3가 재개발 > 등을 계획.

1967 36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사장에 취임.
1967 36 : 차남 翰新 출생.
1967 36 : < 여의도 종합개발 > 계획.
1968 37 : 공간지에 김수근 건축 특집 게재.
1969 38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사직. 인간환경계획연구소 발족. 미래학 세미나 개최.
1969 38 : < 오사까 박랍회 한국관 >, < 제헌회관 > 등을 설계.

1971 40 : 범태평양 건축상 수상. 수상여설을 통해 궁극공간과 문방공간을 이야기 함.
1971 40 : < 공간사옥 구관 > 설계. < 퐁피두센터 현상설계 > 등을 계획.
1971 40 : 아버지가 세상을 뜸.
1972 41 : (주)공간그룹 설립. 건국대학교 교수.
1973 42 <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 < 서울교육대학> 등을 설계.
1974 43 : 국민대학교 조형학부 학장 취임. < 창암장 > 등을 설계.
1975 44 : 중동건설붐을 타고 이란에 < 에바탄 주거단지 >, < 알보즈 주거단지 > 등을 설계.

1976 45 : 건축가협회 회장에 피선. 공간사옥 신관을 신축하기 시작.
1976 45 : < 덕성여대 약학, 가정관 >, < 해외 개발공사 사옥 > 등을 설계.
1977 46 : 소극장 < 공간 사랑 > 개관.
1977 46 : '맹활약 중인 서울의 로렌조' 란 제목으로 김수근의 작품이 미국시사주간지 < 타임 > 에 실림.
1977 46 : UIA 상임이상에 피선.
1977 46 : < 샘터 사옥 >, < 수단 영빈관 >, < 올림픽 주경기장 >,
1976 46 : < 마산 양덕성당 >, < 주 인도 대사관 >, < 종합문예회관 > 등을 설계.

1978 47 : < 농촌경제연구소 >, < 갈현동 소나무 집 > 등을 설계.
1979 48 : '現代の建築家 金壽根' 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의 SD 출판사가 김수근 작품집 출간.
1979 48 :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카발리에레 훈장을 받음.
1979 48 : < 청주 박물관 >, < 강원 어린이 회관 >, < 진주 박물관 >, < 한계령 휴게소 > 등을 설계.
1980 49 : UIA 동경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건축의 네가티비즘' 을 선언.
1980 49 : < 경동교회 >, < 새마을 지도자 연구원 > 등을 설계.

1981 50 : < 국민은행 전산본부 >, < 불광동 성당 >, 등을 설계.
1982 51 : AIA 명예회원으로 추대. 원서동 공간사옥을 공릉으로 이전할 것을 계획.
1982 51 : < 주 카타르 한국대사관 >, <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 등을 설계.
1983 52 : < 광명시 청사 >, < 구미 예술회관 >, < 양평 수련원 >,
1983 52 : < 주미 한국대사관저 >, < 대전 종합과학과 >, < 서울시립장제장 > 등을 설계.

1984 53 : < 서울지방법원 종합청사 >, < 올림픽 공원 체조, 자전거, 수영 경기장 > 등을 설계.
1985 54 : 간암으로 투병 시작.
1985 54 : < 라마다 르네상스 호텔 >, <서울의대 부설 간연구소 >, < 벽산 빌딩 > 등을 설계

1986 55 : 6월 14일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타계.
1991 60 : 11월 2일 건축가 김수근 전. 국립현대미술관.
1993 62 : 1월 23일 김수근 멋전展, 동경 갤러리 間
1993 62 : 6월 1일 김수근 멋전展, 북구주 시립 미술관


예전에는 본관 9층 이상은 호텔로 사용됐다고 한다. 이름은 '문화관광호텔'.

객실로 사용되던 방은 임대사무실로 이용하고 있고 9층 호텔 라운지 '럭시'는 직원식당으로 쓰고 있다. '럭시'는 당시 MBC 사원들이 외상을 너무 많이 긋는 바람에 망했다는 후문이 있다.

MBC의 한 관계자는 "MBC가 방송사업을 시작할 때 자금이 부족해 외자도입을 시도했는데 방송사업에는 외자를 들여올 수 없고 호텔을 운영하면 가능해서 사옥 위층에 호텔을 짓는 조건으로 외자를 들여왔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그런데 호텔사업이 잘 안돼서 곧 접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 예전에는 객실 복도였던 곳이다. ⓒ정은경 기자
사무실 곳곳에는 아직도 호텔 객실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사무실 공간에는 어울리지 않을 법한 욕조와 샤워기가 있는 곳도 있다.

"도둑 들어와도 나갈 구멍 못찾을 것"

본관, 중앙관, 신관으로 나뉘어진 사옥이 한줄로 이어져 있다보니 내부 구조도 그만큼 복잡하다. 본관 로비에 있는 엘리베이터로는 8층까지밖에 못 올라가지만 8층 구석에 난 '비밀계단'을 따라올라가면 옆동으로 건너가 꼭대기층인 17층까지 올라갈 수 있다. 섣불리 아무 복도나 계단으로 접어 들었다간 미로에 갇히기 십상이다.

"도둑이 들어와도 나갈 구멍을 못찾아서 잡힐 것"이라는 김 팀장의 설명이 남의 말 같지 않다. 입구가 여러 개니 어떻게든 들어가기는 하겠지만 나가는 길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마지막으로 바쁘신 가운데서도 도움 말씀을 주신 김상훤 경향신문 시설관리팀장께 짧은 글로나마 감사인사를 드린다. 다음 주에는 민임동기 기자가 MBC 여의도사옥 7층 흡연실에 얽힌 사연을 들려줄 예정이다.

'건축물 등을 통해 살펴보는 언론사 인사이드'는 특이한 구조의 언론사 내부 건축물이나 그것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일하고 계신 언론사에 얽힌 재미있는 얘기가 있으면 제보해주시기 바랍니다.(pensidre@mediatoday.co.kr)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