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 보도전문채널 YTN이 공적 지분 매각을 통해 민간 소유로 넘어갈 경우 ‘저비용 저품질 전략’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는 학계 전망이 제기됐다. 해외 민영 뉴스전문채널의 경우 성공 사례가 드문 가운데 대다수가 수익을 위해 극단적으로 연성화하거나 사주의 홍보 창구로 전락하는 사례로 갈렸다.

한국언론학회는 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에서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을 주제로 특별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는 YTN에 출자한 대주주 한전KDN와 한국마사회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정부 주도로 보유지분 민간 매각에 착수한 가운데 열렸다. 이들 공기업이 소유해온 YTN의 지분 30%는 YTN이 ‘준공영방송’이라 불리는 근거다.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대학 교수는 발제에서 “보도전문채널 YTN이 민영화됐을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전망하기 위해 그간 사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며 보도 기능을 하는 비지상파 민영방송사인 TV조선과 JTBC를 들었다. 그는 “민영미디어방송채널에 대한 평가를 보면, 민영 미디어가 나타났을 때 가질 수 있는 여러 우려가 현실화한 경우가 많았다”고 했다.

▲한국언론학회는 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에서 YTN 후원으로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 특별세미나를 열었다. 사진=김예리 기자
▲한국언론학회는 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에서 YTN 후원으로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 특별세미나를 열었다. 사진=김예리 기자

홍 교수는 국내 민영 방송채널 보도의 특성으로 △비용 절감으로 인한 보도 품질 하락과 △정당의 이익 대변을 통한 공적 이슈의 정쟁화를 꼽았다. 홍 교수는 TV조선을 예로 들며 “개국 초기 종편의 시사보도 편성 비율은 지상파의 2~3배였지만 취재 인력은 3분의2 수준”이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사토크쇼를 확대 편성했다”고 했다. 그는 “시사토크 프로그램의 과잉과 낮은 수준의 보도 품질은 종편의 저비용 사업전략 경영에서 기인한다”며 “이는 채널의 상업적 소유와 무관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JTBC를 두고는 “민간 소유임에도 불구하고 시장 차별화에 성공해 공론장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그러나 이 평가가 (소유 구조에 기인한) 본질적이고 구조적인 것이라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대학 교수가 1일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 특별세미나에서 발제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대학 교수가 1일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 특별세미나에서 발제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현재 YTN 보도 전반에 대해선 “형식적 중립성을 강조하는 저널리즘”이라고 평가했다. 시청률과 뉴스이용률에서 큰 등락없이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하면서 일관된 이용률을 보여왔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형식적 객관주의 경향 속에서도 ‘돌발영상’은 색다른 시도”라며 “제작진의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가 강하게 작용하는 성향을 보였는데, 정부를 막론하고 비판과 풍자 대상으로 삼았으나 보수 정치권에 의해 주로 ‘편향적’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홍 교수는 “정치후견 체제에서 벗어나는 데 동의하나, 오히려 민영화가 정치후견 체계의 일부로 작용할 수 있다”며 “공영방송이 공익성 구현에 충분하지 못했다고 오히려 상업방송을 늘리는 건 논리 모순”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업의 YTN 인수는 방송법 8조(대기업 집단의 방송 소유 제한) 가치와 정면으로 충돌한다”며 “자본 권력에 의한 언론장악 효과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수민 서강대 신문방송학 교수는 국내외 뉴스전문채널들이 공유하는 특성으로 “항시적인 긴축 상황”을 꼽은 뒤 “저비용으로 민주주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꼽았다. 그러면서 뉴스전문채널이 성황인 사례들을 가리켜 “그 근저엔 유사한 메커니즘이 있다”고 했다.

▲서수민 서강대 신문방송학 교수가 1일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 특별세미나에서 발제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서수민 서강대 신문방송학 교수가 1일 ‘지속가능한 저널리즘 생태계와 보도전문채널의 역할’ 특별세미나에서 발제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서 교수는 “미국 사례 외에 민영뉴스채널이 (경영적으로) 성공한 사례는 드물다”고 했다. 민간 뉴스채널로는 영국 iTV와 스웨덴의 TV4, 캐나다 Sun이 모두 문을 닫았다. 핀란드 공영 뉴스채널인 YLE도 개국 1년 만에 문을 닫았다.

반면 인도의 경우 뉴스전문채널이 500여개이며 이 중 24시간 채널은 125개이다. 사주는 예외없이 건설사와 대기업, 특정 정치인들이다. 서 교수는 이를 두고 “수익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 영향력 장사를 하고 (방송을) 로비 기능으로 보는 것”이라며 “사주가 방송사 (운영 비용을) 홍보 비용 처리로 생각하고, 여기엔 뉴스채널이 지지자 결집에 유효하다는 판단이 작용한다”고 했다.

민영 뉴스채널이 수익을 노리는 경우, 이는 극단적 연성화로 나타난다. 서 교수는 미국의 폭스와 CNN을 들었다. 중립을 표방하던 CNN이 도널드 트럼프 관련 보도로 높은 시청률을 구가하다 조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 1년 만인 2021~2022년 시청률이 70% 급감한 것이 단적 사례다. 서 교수는 “그러자 CNN은 파파라치 인터뷰를 하거나 선정적 범죄보도에 치중하는 등 폭스의 형식을 또 따라갔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미국 민영보도채널도 제도 불신과 민주주의의 심각한 훼손을 낳고 있다. 그런데 언론 신뢰도가 최저인 한국에서 보도채널에 대한 신뢰도는 높다”며 “YTN의 소유 구조가 바뀐다고 했을 때, 그 변화가 YTN뿐 아니라 방송 생태계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호주와 영국의 경우 민영 뉴스채널들이 저널리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서 교수는 “(그 배경에) 미디어공공성 관련 정책이 존재한다”고 했다. “미국 폭스뉴스와 같은 계열사인 호주와 영국의 스카이뉴스는 폭스와 다른 길을 걸었다. 공영방송보다는 연성이지만 정책보도에서 큰 틀의 균형을 유지하고 말싸움으로 시청률을 조준하지 않았다. 민방 뉴스채널에도 적용되는 미디어공공성 관련 정책이 존재해 민영 채널의 타블로이드화를 막아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