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상기자협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출근길 문답 중단과, MBC 기자에 대한 징계 요구 등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현 시점에서 언론인들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실은 지난 9월 해외순방 당시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이 보도된 이래 이를 보도한 여러 매체 중 MBC에 비판을 집중해왔다. 윤 대통령은 18일 ‘MBC가 악의적 행태를 보여서’ 해외순방 취재진을 대통령 전용기에 태우지 않았다고 밝혔다. MBC 취재기자가 이에 반문하자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이 ‘예의가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언쟁이 오갔고, 대통령실은 당시 상황을 이유로 21일부터 출근길 문답을 중단했다.

영상기자협회는 23일 성명에서 “대통령이 실수를 인정하지 않고 사과를 거부한 순간부터, 특정 언론사와 소속 언론인들을 향해 수사, 세무조사가 이어지더니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했던 특정언론사 취재진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 배제에 이어, 마침내 윤석열정부의 민주적 소통의 방법으로 내세워지던 출근길 약식회견을 중단함으로써 언론과의 소통의 장을 불과 6개월여 만에 아예 폐쇄해 버리는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11월10일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11월10일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이들은 대통령실의 출근길 문답 중단 사유는 사실관계부터 틀렸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앞서 “최근 발생한 불미스러운 사태와 관련해 근본적인 재발 방지 방안 마련 없이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국민과 소통이라는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면 재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영상기자협회는 “진실 보도는 있었지만, 가짜뉴스는 없었다. 이간질, 악의적인 행태란 것들도 지극히 주관적인 주장일 뿐이다. 이 모든 문제의 발단은 윤석열 대통령의 말이고, 그 뒤에 대통령실이 내놓은 부적절한 대응”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것도 모자라 대통령실은 비서관과 논쟁을 벌인 MBC 기자에 대한 출입기자 등록 취소와 기자실 출입 정지, 출입기자 교체 등 세 가지 방안에 대한 의견을 달라고 출입기자단 간사단을 압박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권에 일방적으로 감정이입하고 정권에 코드 맞추려는 이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을 취재, 보도한 취재기자와 영상기자에 대해 협박하고, 지난 주 금요일 약식회견 당시 비서관과 설전을 벌인 기자를 향해 신변을 위협하고, 국가기관이 탄압에 적극적으로 나서라는 협박과 요구들을 부끄러움 없이 공론의 장에 배설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비판을 이어갔다. 

이들은 또한 MBC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가 “대통령의 헌법수호 책임의 일환으로서 부득이한 조치였다”는 윤 대통령의 발언도 지적했다.

영상기자협회는 “민주주의의 가장 근본이자 헌법의 기본가치인 언론자유가 위협 당하고, 언론인들이 탄압 당하는 현실 앞에서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말하는 헌법 수호는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스럽기만 하다”며 “전국의 영상기자들은 언론인 동료들과 우리 사회가 처한 민주주의와 언론자유의 위기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11월10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언론 현업인 단체들이 윤석열 대통령실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11월10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언론 현업인 단체들이 윤석열 대통령실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이어 “시민들과 선배들이 오랜 노력과 희생을 통해 이룩한 민주주의와 언론자유를 지키고, 우리의 일터가 오로지 시민들의 삶을 진전시키기 위한 진실보도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이 상황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언론인들이 강고하게 연대하고 함께 노력할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특정 보도를 이유로 언론에 불이익을 주는 대통령실 대응은 국내외를 막론한 언론 단체들의 비판을 사고 있다. 국경없는기자회(RSF)는 이날 대통령실이 출근길 문답 중단의 책임을 MBC에 떠넘기고 있다며 이는 “특정 언론사를 본보기 삼아 언론을 길들이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앞서 MBC 취재진에 대한 대통령 전용기 탑승 배제 사실이 알려진 이후로는 대통령실 출입기자단은 물론 한국기자협회·전국언론노동조합 등 8개 현업 언론인 단체, 언론개혁시민연대·민주언론시민연합 등 언론 관련 시민단체 성명이 잇따랐다. 146개국 187개 매체의 언론인 60만 명이 가입한 국제기자연맹(IFJ)도 규탄 입장을 낸 바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