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라마, 영화, 뷰티, 음악 등의 장르 중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해외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소비한 장르는 뭘까.

지난 8일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가 발표한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 보고서를 보면 해외 소비자들이 코로나19 이후 다른 어떤 장르보다 한국 드라마(53.8%)에 대한 소비를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51.8%), 예능(51.5%), 게임(50.2%), 웹툰(48.5%), 음악(47.3%), 애니메이션(46.9%), 뷰티(45.5%), 도서(44.8%), 패션(42.4%) 순이었다.

드라마(81.6%)는 다른 장르들을 제치고 한국 문화콘텐츠 ‘호감도’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영화(80.6%), 예능(79.9%), 음식(78.5%), 뷰티(78.3%), 패션(77.3%), 게임(76.7%) 순이었다. 많은 응답자는 한국 드라마의 인기 요인으로 ‘짜임새 있는 스토리’(15.9%)와 ‘배우의 매력적인 외모’(15.9%) 등을 꼽았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의 한 장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의 한 장면.

드라마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호감도가 높은 이유에 대해 지난해 9월 출시된 ‘오징어 게임’의 영향이 크다고 봤다. 보고서는 “한류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제트기류를 무사히 통과해 엔데믹에 연착륙했다. 코로나19 발생 첫해(2020년)와 비교해 각종 한류 관련 지표는 상승했고 한류로 인한 총수출액도 증가하고 있다”며 “이 같은 한류 성장세는 비대면 소비 보편화에 따른 수혜의 영향도 있지만 한류콘텐츠 자체의 경쟁력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보고서는 이어 “‘오징어 게임’은 글로벌 신드롬을 일으키며 OTT 영상콘텐츠 관련해 거의 모든 기록을 새로 썼다. 시청 가구나 시간 등의 흥행 지표뿐 아니라 시대 담론이나 놀이 문화 등 사회적 측면에서도 오징어 게임은 놀라운 파급력을 보였다”며 “뒤이어 공개된 여러 한국 콘텐츠가 잇달아 흥행하며 글로벌 기업의 한류 콘텐츠 투자도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역대 넷플릭스 콘텐츠 첫 공개 후 28일간 누적 시청시간 기록 1위 자리에 ‘오징어 게임’(7월20일 기준)이 올랐다. 2위를 차지한 ‘기묘인 이야기 시즌4’보다 훨씬 높은 기록이었다.

그러나 해외 한국 소비자들은 ‘한국 연상 이미지’로 2017년부터 5년 연속 ‘K-Pop’(14.0%)을 가장 먼저 떠올렸다. 이어 한식(11.5%), 드라마(7.5%), 한류스타(7.0%) 순이었다. 보고서는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신드롬 영향으로 ‘드라마’가 전년도 5위에서 3위로 두 계단 상승한 것이 눈에 띈다”고 해석했다.

가장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는 1위 ‘오징어 게임’(21.2%)에 이어 사랑의 불시착(2.2%), 빈센조(1.9%), 펜트하우스(1.6%), 갯마을 차차차·태양의 후예(1.4%) 순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한국 배우 1위는 이민호(9.3%)였다. 이어 현빈(3.1%), 공유(2.8%), 송혜교(2.2%), 송중기(2.1%)가 뒤를 이었다. 최선호 한국 영화는 기생충(10.3%)이었고, 뒤이어 부산행(6.8%), 서복(1.5%), 미드나이트·승리호(1.3%) 순이었다. 최선호 한국 가수는 방탄소년단(26.7%)이었다. 이어 블랙핑크(10.4%), 아이유(2.8%), 블랙핑크 리사(2.4%), 싸이·트와이스(2.1%) 순이었다.

이번 조사 대상 국가는 총 18개였다. 아세아·오세아니아(중국, 일본,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호주)와 미주(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유럽(프랑스, 영국, 러시아, 튀르키예), 중동·아프리카(아랍에미리트, 남아공) 등이었다.

정길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원장은 “오징어 게임과 방탄소년단 등 인기 콘텐츠를 통해 한류 대중화가 진척된 부분은 고무적이다. 한류콘텐츠 제작시스템의 고도화, 전문인력 풀의 확장을 바탕으로 국내외 자본 투자 역시 활발한 점을 고려한다면 한류는 정점이 아닌 변곡점을 맞이했다고 보는 게 합당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