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다수는 코로나19 소상공인 재난지원금 정보 습득과 신청을 어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오픈넷과 포용사회연구소는 22일 ‘소상공인 재난지원금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와 해결방안’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12~27일 서울시내 전통시장에서 일하는 60세 이상 고령층 소상공인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7%만이 재난지원금 관련 정보 파악에 인터넷을 활용했다. 65%가 인터넷 이용에 익숙하지 않아 재난지원금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재난지원금 관련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대졸 이상 응답자는 56%가 재난지원금 정보를 파악하는 데 인터넷을 활용했다고 답했다. 고졸의 경우 40%, 중졸 19%, 국졸(국민학교 졸업) 이하 응답자는 8%만이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습득했다. 

▲ 디자인=이우림 기자. ⓒgettyimagesbank
▲ 디자인=이우림 기자. ⓒgettyimagesbank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연령대가 낮은 60~65세 응답자는 39%가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은 반면, 71세 이상은 7%만이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었다고 답했다.

대졸 이상의 응답자는 평소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비율이 63%로 나타났다.  반면 국졸 이하는 6%에 그쳤다. 문자 알림 서비스 신청에 어려움이 없는 경우는 대졸 이상은 50%에 달했지만 국졸 이하는 6%에 그쳤다.

고령층 소상공인은 대부분 재난지원금을 직접 신청하지 못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직접 재난지원금을 신청했다는 응답은 15%에 그쳤다. 반면 자녀나 지인의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이 52%, 관공서나 상인회 등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이 12%로 나타났다.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했다는 응답은 21%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매우 취약한 것을 확인했으며 이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인터넷 이용이 미숙한 고령층의 경우 일선에서 말하는 디지털 교육 정책보다는 인터넷 도우미를 파견하여 돕는 방식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울 양천구는 청년들을 ‘청년 디지털 서포터즈’로 발탁해 소상공인들의 디지털 기기 사용 등을 돕게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