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와 비타민K는 스위스산 DSM사의 고품질 원료를 사용했다.”

“○○건설은 이달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 532 일원에 수택1지구 재건축을 통해 ‘○○○○○ 구리역’을 분양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환승 없이 용산, 공덕, 홍대입구 등을 이동할 수 있다.”

“○○○ 면역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느는 것에 주목해 1년여간의 연구 끝에 최적의 아연 배합 레시피를 개발했고 ○○유 면역수를 선보이게 됐다. ”

기사일까 광고일까. 각각 매일경제와 파이낸셜뉴스, 아시아경제 등에서 보도한 기사들의 일부 내용이다. 종합일간지와 경제지, 통신사 총 18곳 중 기사형 광고 의심 사례가 가장 많은 매체는 파이낸셜뉴스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와 매일경제, 아시아경제, 뉴스1, 머니투데이 등이 뒤를 이었는데, 종합일간지와 통신사보다 경제지들이 기사형 광고로 의심되는 보도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언론인권센터와 뉴스타파는 3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2소회의실에서 ‘기사형 광고,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 언론의 상업주의, 이대로 좋은가?’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언론인권센터.
▲언론인권센터와 뉴스타파는 3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2소회의실에서 ‘기사형 광고,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 언론의 상업주의, 이대로 좋은가?’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언론인권센터.

언론인권센터와 뉴스타파는 3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2소회의실에서 ‘기사형 광고,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 언론의 상업주의, 이대로 좋은가?’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했다. 

언론인권센터 모니터 결과 기사형 광고 의심사례는 파이낸셜뉴스가 49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헤럴드경제(244건), 매일경제(220건), 아시아경제(198건), 뉴스1(148건), 머니투데이(83건), 서울경제(79건), 뉴시스(61건), 한국경제(55건), 서울신문(44건), 동아일보(40건), 국민일보(35건), 연합뉴스(32건), 중앙일보·경향신문(24건), 한국일보(20건), 조선일보(12건), 한겨레(1건) 순이었다.

언론인권센터 모니터링단(고재은·박진수·안가영·이하영 모니터요원, 강수지 미디어이용자권익본부 실행위원)은 종합일간지 8개(조선일보, 한겨레, 중앙일보,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국민일보)와 경제지 7개(매일경제, 서울경제, 머니투데이, 아시아경제, 헤럴드경제, 파이낸셜뉴스, 한국경제), 통신사 3개(연합뉴스, 뉴시스, 뉴스1) 등 총 18개사를 선정해 기사형 광고 의심 보도를 하고 있는지 조사했다.

모니터링 기간은 지난 2월7일부터 25일까지 총 19일 약 3주간 진행됐다. 모니터링 대상 기사는 총 3가지 대주제 △건설 △의료 △금융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고, 언론사 주최 시상식에서 수상작 선정 대가로 홍보비를 받는 관행이 의심되는 기사들을 추가했다.

18개사는 3주간 1813건의 ‘기사형 광고’를 송출했다. 7개의 경제지가 1372건의 기사형 광고로 의심되는 보도를 했다. 8개의 종합일간지는 200건의 기사를, 3개의 통신사는 241건의 기사를 보도했다.

기사형 광고 의심 사례 보도 행태는 크게 △기사를 빙자한 광고1 : 정보와 홍보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 △기사를 빙자한 광고2 : 같은 소재를 반복적으로 노출한 경우 △책임을 지울 대상이 부재한 경우 등이다.

모니터링단은 “다른 상품/업체와의 비교 및 실제 사실 확인 없이 일방적인 홍보 문구를 나열하고 있는 기사들은 주로 분양 중이거나 분양 예정인 아파트 등의 부동산,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보험상품, ETF(상장지수펀드) 상품, 의학/주식 관련 서비스 앱 등에 대해 보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사들은 일반 인터넷상 기사와 동일한 형식으로 작성되고 있지만, 내용상으로는 비교나 사실 검증, 추가 취재 없이 특정 업체나 상품에 대한 홍보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OOOO 비타민디는 (...) 비타민 D와 비타민 K는 스위스산 DSM사의 고품질 원료를 사용했다. 부원료로 구연산 칼슘 500mg(일반 칼슘 기준 100mg)도 함유했으며 하루 한 알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정제 크기 또한 알맞게 줄였다.” (매일경제 2월22일자 보도)

▲지난 2월22일자 매일경제 보도.
▲지난 2월22일자 매일경제 보도.

“○○건설은 이달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 532 일원에 수택1지구 재건축을 통해 ‘○○○○○ 구리역’을 분양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환승 없이 용산, 공덕, 홍대입구 등을 이동할 수 있다.” (파이낸셜뉴스 2월9일자 보도)

모니터링단은 “이러한 보도 행태들은 앞서 위에서 언급됐던 행태들의 연장 선상에서 홍보 문구가 포함돼있는 보도자료들을 추가적인 취재나 검증, 사실 확인 없이 그대로 기사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기사형 광고 의심 보도 중 책임의 주체가 소멸된 경우도 있다고 강조했다. 모니터링단은 “기자의 바이라인이 없는 경우, 유령기자의 신분으로 작성된 경우, 정식기자 대신 연구원 등이 대필한 경우가 그러하다. 해당 유형은 공통적으로 언론사가 정식기자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작성 주체를 우회한 채 기사형 광고를 발행함으로써 기자로 하여금 윤리강령 위반을 교묘하게 면피하게끔 일조했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이 가운데 ○○○가 들어서는 B3 블록은 중심상업지구와 가까워 상업, 문화 등 다양한 생활 인프라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자연녹지가 인접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도 있다. 중부고속도로 대소IC, 평택제천고속도로 금왕꽃동네IC를 통해 서울까지 약 1시간이면 도달할 수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경제 2월28일자 보도)

모니터링단은 “한국경제에서 작성된 기사형 광고 중 일부는 바이라인에 ‘한경닷컴 뉴스룸’이라는 문구만 적혀 있기도 했다. 기사형 광고로 의심되는 기사들의 작성자들이 기자 자신들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언론사라는 단체에 빌어 그 안에 숨은 것으로 바이라인이 없는 기사와 마찬가지로 언론으로서 책임을 회피한 사례”라고 지적했다.

▲지난 2월28일자 한경닷컴 보도.
▲지난 2월28일자 한경닷컴 보도.

유령기자가 작성한 기사는 한국경제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에서도 발견됐다. 모니터링단은 “모니터링 기간 동안 ‘정O(jung93@asiae.co.kr)’이라는 바이라인으로 11건의 기사가 작성됐고, 모니터링 기간 외에도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 2022년 3개월 동안 정O 기자 이름으로 420건의 기사가 검색됐다”며 “연합뉴스 기사형 광고를 올린 박OO 기자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활동 중인 기자라면 자사 사이트나 포털에 개설돼야 할 기자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모니터링단은 이어 “마찬가지로 아시아경제의 최OO 기자(mail00@asiae.co.kr) 명의로는 2022년 3개월 동안 248건의 홍보성 기사가 올라왔다”며 “추가적으로 조사한 결과 2015년 11월부터 아시아경제가 mail00@asiae.co.kr 이메일로 올린 홍보성 기사는 모두 합쳐 1만 건이 넘었다. 더불어 ‘mail00’ 계정의 경우 과거에는 박OO 기자, 임OO 기자, 김OO 기자 등 다른 사람들도 사용한 사실도 드러났다”며 “마치 특정 목적을 위해서만 존재한다는 듯 몰개성한 계정 이름, 다양한 기자가 메일 계정을 공유한 정황을 미뤄 보건대 앞서 연합뉴스 박OO 기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령기자를 이용한 익명의 기사형 광고 (의심 기사들을) 작성한 의혹이 강하게 드는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모니터링단은 언론 본연의 역할인 ‘취재’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모니터링단은 “언론은 기사형 광고 (의심 사례) 보도 행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개선의 의지를 보여야 한다. 모니터링 결과 ‘취재의 부재’는 공통적인 문제점이었다. 기자가 아닌데 기사를 작성하는 경우 보도자료를 그대로 보도하는 경우, 동일 내용의 기사를 반복적으로 보도하는 경우 모두 ‘취재’가 부재한 보도”라며 “언론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인 ‘취재’로 돌아가야 한다. 일방적인 주장만 담긴 보도자료에서 벗어나 직접 취재 분석하고 비교해야 하며 취재 행위를 해야 한다”고 했다.

모니터링단은 끝으로 “취재의 부재는 기자 개인의 문제만이 아닌 언론사 내부 구조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기자 취재하지 않은 경우 데스킹 과정에서 지적하고 경계하는 시스템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언론은 기사형 광고를 방지하고 개선해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