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각종 분야에서 메타버스와 연계된 사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언론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몇몇 언론은 코로나19 국면에서 비대면 회의와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를 메타버스에서 진행하기도 했다.

이 같은 흐름에 지역언론 역시 몸을 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역의 위기와 함께 지역언론의 위기도 늘 언급되는 상황에서 메타버스를 통해 새로운 저널리즘을 구현하고,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메타버스 관련 이미지. 사진=Getty Images Bank
▲메타버스 관련 이미지. 사진=Getty Images Bank

대전언론문화연구원은 14일 오전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지역언론의 메타버스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날 자리에는 김재영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윤희일 경향신문 전국사회부 선임기자, 이석봉 대덕넷·헬로우디디 대표, 이진로 영산대 자유전공학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이 교수는 지역언론이 메타버스를 활용해야만 하는 이유로 미디어 소비 시장의 변화를 꼽았다. TV에서 인터넷과 SNS로, 이제는 메타버스로까지 미디어 소비 시장이 이어질 것이기에 지역언론 역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교수는 “현재 미디어는 주로 우리가 방송을 통해 소비한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OTT, SNS로까지 소비 행태가 연장되고 있다”며 “지금 직면한 세상은 메타버스다. 이것은 가상 공간이 현실이 되고, 현실이 가상 공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짚었다.

이 교수는 그러면서 지역언론이 기존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거나, 새로운 플랫폼을 지역별로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교수는 “지역언론이 메타버스 플랫폼에 참여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현재 있는 제페토 등의 플랫폼을 활용해 지역언론의 위상을 높이자는 것”이라며 “또다른 방법으로는 지역언론이 연합해 지역별 메타버스를 만드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 방안은 새롭게 지역언론에 관련 있는 사람을 모두 모아야 하기에 조금 어려울 수 있다. 지역언론 역량이 조금 더 강화된 이후 할 수 있는 선택”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렇게 되면 콘텐츠 제작 현장이, 유통 수단이, 소비자들의 이용 수단이 메타버스 공간에서 모두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시장이 새롭게 열릴 수도 있다”며 “정부와 시민들의 지원도 이뤄질 수 있다. 유튜브 구독을 하면 유튜버에게 도움이 되듯이 메타버스를 활용해 지역언론에 참여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대전언론문화연구원이 14일 오전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지역언론의 메타버스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대전언론문화연구원 제공
▲대전언론문화연구원이 14일 오전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지역언론의 메타버스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대전언론문화연구원 제공

종합토론에서는 메타버스라는 플랫폼에 기대는 언론 전략이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이라는 플랫폼에 기대고 있는 현재의 미디어 시장이 재현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윤 기자는 “우리나라에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포털이 나타난 이후 경쟁적으로 각 언론사가 자체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은 등한시하고 포털에 잡아먹힌 상황이 벌어졌다”며 “스스로 자생력을 갖추려고 하기보다 플랫폼에 기대려 하다 보니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포털에 언론이 지배당하는 경험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윤 기자는 또 “새로운 플랫폼이 나올 때마다 미디어 업계에서는 늘 똑같은 현상이 벌어졌다. 유튜브에서 이미 검증이 됐지만 메타버스 공간에서 지역 콘텐츠로 수익이 활용될 것인지는 의문이 있다”며 “지역언론이 메타버스를 새로운 먹거리로 생각한다면 기존에 해오던 종이와 인터넷에서의 평면적인 저널리즘과는 다른 전략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타버스 진출을 통한 지역언론 활성화가 현실이 되려면, 신문 중심의 지역언론 활성화 법체계가 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 대표는 “지역언론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법은 종이신문에 그치고 있다. 메타버스, 영상, 유튜브 등은 모두 지원 대상이 아니다”라며 “현재 법제화는 신문에만 그치고 있기에 지역언론 활성에는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존의 시스템을 어떻게 정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