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대생들이 유튜브에서 부적절한 언행을 하고 있다며 예비 의료인에 대한 소셜미디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일 “유튜브 영상에서의 의대생 비전문적 행위에 대한 기초연구”(A Preliminary Study on Uncovering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rs from YouTube Videos) 논문이 영문 대한의학회지(JKMS)를 통해 공개됐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의 박현미 연구교수 등이 진행한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지난해 3월14일부터 4월25일까지 한국 의대생이 유튜브에 올린 7만154건의 영상 가운데 조회수가 1000건을 넘고 음성이 10초 이상 나오는 79건을 분석했다.

▲의대생 유튜브에서 발견된 의사 전문직업성 결여 사례. 사진=대한의학회지(JKMS) 홈페이지
▲의대생 유튜브에서 발견된 의사 전문직업성 결여 사례. 사진=대한의학회지(JKMS) 홈페이지

그 결과 20%에 해당하는 영상에서 의료인이 갖춰야 할 직업윤리의 바탕이 되는 ‘의학전문직업성’이 결여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 유형은 △학습 관련 부적절 행동 △타인에 대한 존중 결여 △자기인식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특히 ‘타인에 대한 존중 결여’가 드러난 사례들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여성을 물건으로 지칭하며 “3월에는 놀기 좋은 물건이 많다”라는 발언이 일례다. 중얼거리는 사람을 “발작 환자 같다”고 표현하며 환자를 비하하는 등 환자, 동료, 의사 등을 경멸·조롱한 영상도 확인됐다.

‘자기인식 부족’ 유형 중에서도 타인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언행이 지적됐다. “시험이 심장학만큼 어렵다면 뛰어내려서 자살할 것”이라는 발언이다. ‘죽고 싶다’는 표현이 일상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된다 해도, 자살 고위험군에겐 충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팀은 “현재 의대생들은 ‘디지털 네이티브’이고 소셜미디어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데 매우 친숙하지만, 디지털 공간에서 전문성과 개인의 삶의 경계가 흐려지게 하는 데 취약하다”며 “의과대학은 학생들이 소셜 미디어의 개인 및 전문적 사용 구별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돕고, 소셜 미디어가 의료계 구성원으로서의 지위에 어떻게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교육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튜브 '의대생' 자동완성검색어
▲유튜브 '의대생' 자동완성검색어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9월 “의료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환자 진료정보 누설 등 부적절한 행위를 사전에 예방”한다는 목적으로 ‘의사 소셜미디어 사용 가이드라인’을 공개한 바 있다. 가이드라인은 △개인의 정보(비밀) 보호 △정보의 적절성 △환자와 의사의 관계 △전문가로서의 품위 △의사(동료)간 커뮤니케이션 △의사의 소셜미디어 사용에 대한 교육 △이해의 충돌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의협은 “의사의 소셜미디어 사용은 대중에게 보건의료 정보를 제공해 소통의 기회를 확대하고 온라인에서의 직업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다”면서도 “소셜미디어를 단순한 사적 공간으로 판단해 정확하지 않은 정보 또는 의견을 게시한다면 해당 의사와 개별 환자 사이에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의료전문가 전체의 신뢰가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