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신문사들은 편집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편집국장 직선제나 임면동의제·중간평가제 등 편집국장 선출·재신임방식을 통한 편집권 독립·보호장치를 마련해두고 있지만 편집위원회 등 편집제작에 관한 논의기구를 자체적으로 마련한 곳은 드물다.

▷편집국장 선출방식= 편집국장 선출방식의 경우 창간부터 편집국장 직선제를 도입, 운영하고 있는 곳으로는 한겨레가 있다. 서울신문과 부산일보도 기자들이 선출한 직선 후보 2∼3명을 발행인이 임명하는 사실상의 직선제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99년 한화로부터 독립해 직선제를 도입했던 경향신문은 지난해 9월 편집국장 임명동의제로 제도를 변경했다. 이밖에 동아·한국·경향·국민 등 중앙일간지와 국제신문 대다수 신문들은 편집국장 임명(면)동의제를 운영하고 있다.

중앙일보와 서울신문은 편집국장이 임명된 뒤 일정기간이 지나면 편집국장에 대한 중간평가제를 할 수 있도록 해놓고 있다.

▷편집위원회·공정보도위원회= 일부 신문사들은 편집제작에 대한 사전·사후 논의를 통해 발생 가능한 편집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노사 동수로 구성된 편집위원회나 공정보도위원회 등의 편집권 보호장치를 마련해놓고 있다.

동아일보는 지난 3일 편집제작협의회를 본격 가동해 89년 단협에 명문화했던 기구를 5년만에 부활시켰다. 사후 지면 감시 뿐 아니라 제작하기 전에도 예상가능한 불합리한 점을 개선토록 한다는 취지다.
중앙일보는 지난 2001년 3월부터 편집인·편집국장·공정보도위원장 등 편집간부와 기자대표 8명이 참가하는 편집위원회를 매월 두차례 씩 열어 지면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 향후 지면에 반영토록 하고 있다.

전남일보도 최근 노사동수가 참여하는 편집위원회를 구성, 지면제작 과정상의 문제점을 논의해나가고 있다. 한국일보와 경향신문은 각각 편집평의회와 편집제작평의회를 설치할 수 있는 근거를 단협 상 갖고 있지만 실제로 운영하고 있지는 않다.

한겨레도 창간 초기 기자평의회를 운영했으나 현재는 활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한겨레의 경우 지난해 편집국 일일 제작회의에 노조 대표로 기자 1명을 파견토록 하는 제도를 회사측과 합의했다.

이외 대부분의 신문사들은 공정보도위원회 등 지면 감시기구를 두고 적어도 사후 지면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다. 국민일보·서울신문·동아일보·한겨레(지면개선위원회) 등은 심각한 편집권 침해와 지면의 문제점이 발생하면 보고서를 내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 신문사의 경우 편집권 독립을 위해선 보다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다는 기자들의 지적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