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시장의 여론독과점을 형성하고 있는 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3사는 여론시장에 대한 독과점 규제논란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이들은 우선 국민들의 여론이 과연 신문을 통해서만 형성되느냐는 문제제기를 했다. 동아일보 허엽 차장은 “국민들은 신문뿐만 아니라 방송이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고 의견이나 여론을 형성한다”며 “실제로 방송이나 인터넷의 영향력이 더 높다. 신문 자체만으로 여론을 독과점한다는 것은 한국시장에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허 차장은 “현재 많은 현안들이 신문에 나오기 전에 이미 인터넷에서 논쟁을 벌이며, 기사 쓸 때도 인터넷을 참고할 정도로 매체 시장이 다변화했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관계자도 “현재 국내 미디어는 분화되고 다양화돼있는데 과연 신문만을 갖고 독과점이라고 할 수 있느냐”며 “물론 신문만 자주 접하는 사람들만 기준으로 보면 조중동이 70%가 넘는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 사람만 여론이라고 볼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지난 2000년 3월 AC닐슨 조사에 의하면 신문의 구독률이 60%에서 올해 6월 발표한 조사에서 43%로 떨어진 반면 TV 보급대수나 인터넷 보급률은 더 늘었다”며 “이 상황에서 여론을 독과점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신문 영향력 감소의 또 다른 사례로 이 관계자는 “지난 대선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되고 지난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압승한 결과를 조중동이 만들어낸 것이겠느냐”고 되물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오히려 최근의 여론 미디어 환경은 ‘백화제방’ 시대로 신문 방송 인터넷을 포함해 적절하게 분점돼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동아 허 차장도 “설령 보수 언론이 왜곡보도를 했다고 해도 불과 1∼2시간만에 인터넷 상에 뜬다”고 강조했다.

해외에서도 신문법을 통해 여론시장을 규제하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나왔다. 조선일보 진성호 미디어팀장은 “법안을 추진하는 열린우리당이나 언론단체에서 구체적으로 어느 나라 어느 케이스가 있는지 제시하면 조목조목 반박하고 대응할 수 있다”며 “독점금지법을 근거로 상위 3개 신문사가 60% 를 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은 외국의 어느 사례에도 없다. 세계에 신문법을 통해 신문시장을 규제하는 나라가 어디 있느냐”고 말했다.

여론독과점의 적절한 기준을 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허엽 차장은 “기준으로 볼 때 여론조사 열독률의 경우 조사기관마다 다르게 나오고 발행부수로 보면 마이너사들이 ABC협회 부수공사를 외면하고 있다”며 여론 독과점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대안으로 “특정 현안에 대해 어느 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고 의견을 갖게 됐는지를 묻는 여론조사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진성호 팀장은 “독점금지법을 적용한다 해도 매출액 기준으로 조중동은 중앙일간지의 68%이며, 전국 일간지의 48%에 불과하다”며 “또한 인터넷언론과 방송의 여론독과점은 각각 어떻게 할 것인지, 이들과 신문의 형평성은 어떻게 할 것인지 묻고 싶다”고 되물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