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운동의 화두는 ‘언론 자유’를 어떻게 보장할 지보다는 ‘언론개혁’이라는 게 언론계 안팎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난 86년 말지를 통해 보도지침 사건을 폭로한 바 있는 언론재단 김주언 이사는 “1964년 한국기자협회가 언론자유의 수호를 위해 창립된 뒤 한국일보 등 일부 언론사주가 박정희 정권에 야합하면서 사주와 기자들이 분리됐다”고 말했다.

72년 유신헌법으로 개헌된 이후 지속적인 정부의 언론탄압이 이어졌다. 74년 10월 동아일보 기자들이 ‘자유언론실천선언’을 통해 정부에 저항하자 150명의 기자들이 대량 해고됐다. 이어 유신헌법을 정당화하는 한태연 교수의 조선일보 기고문에 대해 조선일보 기자들이 반발하자 역시 30명의 기자들이 해고됐다.

이들 해고된 기자들(조선·동아 투위)이 주축이 돼 79년엔 신문에 보도되지 않은 민권운동일지를 유인물로 거리에 뿌린 사건으로 이부영 전 동아일보 기자가 구속되기도 했다. 김주언 이사는 “수많은 기자들이 해고되고 구속됐는데도 당시 언론사 내부는 조용했다”며 “그러나 ‘땡전뉴스’에 대한 반발로 KBS 시청료 납부 거부운동이 벌어지고, 86년 9월 ‘말’지를 통한 보도지침 사건 폭로를 거쳐 국내 언론운동은 87년 들어서면서부터 전환기를 맞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87년 이후 각 언론사마다 노조가 결성이 됐고, 88년 초엔 편집권 독립을 기치로 부산일보가 언론사상 처음으로 파업을 벌였다. 88년 10월에는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이 결성돼 언론내부비판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탄압에 대한 저항이 본격화됐다.

반면, 6.10항쟁 이후 신생언론사가 많이 창간되면서 언론자유가 지나치게 남용되고, 신문 시장질서가 붕괴되는 한편으로 선정적인 보도경쟁이 빚어져 언론운동이 ‘언론자유’가 아니라 ‘언론내부의 개혁’으로 옮겨가는 전환점이 됐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