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0년대 말 이후 언론계 내부에서도 활발한 자기정화운동이 있었으나 편집권 독립 보장 방안, 기자윤리 확보, 치열한 자기비판 등의 기본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는 여전한 과제로 남아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언론사 내부 비판과 자성은 촌지거부 등 기자윤리 문제였다. 90년대 초반 보사부 촌지사건 등으로 불거진 촌지거부 운동, 기자단 폐지운동이 활발히 전개됐다. 지난 80년 대 말 신생 신문들이 많이 창간되면서 그 이전까지 쉬쉬해오던 기존 기자단의 각종 특혜와 촌지제공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기자단을 폐지하자는 목소리도 높았다.

지난해 노무현 정부가 청와대 기자실을 시작으로 기자실을 개방하고 브리핑룸을 도입함에 따라 이같은 문제는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 지방지 기자들의 광고강매나 촌지수수 사건, 촌지 대신 광범하게 퍼져있는 골프접대 등 기자윤리의 확보 문제는 여전히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또한 편집권 독립을 위한 활동도 있었다. 지난 87년 한국일보를 시작으로 각 신문사마다 노조가 결성되면서 정부의 언론통제와 사주·광고주가 결탁한 편집권 침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를 고민하다 편집권 독립을 보장할 장치로 편집국장 임명(면)동의제를 설치했다. 한겨레 경향신문 서울신문은 현재 편집국장 직선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신문들이 시행하고 있는 편집국장 임명동의제의 경우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평가가 많다.

공영방송이나 공적 소유구조를 갖춘 신문의 경우 당시 방송이나 지면으로 군사정부를 옹호한데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사장퇴진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87년 서울신문 이진희 전 사장, 90년대 초 KBS 서기원 전 사장, MBC 강성구 전 사장 등이 그 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정부가 직접 공영언론사 사장을 임명하는 게 아니라 추천위를 구성해 추천받은 인사를 적절한 기준으로 선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언론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해 개선하려는 공정보도 활동도 일부에선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90년대 초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국일보는 당시 가장 활발한 자사 보도비판을 했다. KBS·MBC를 중심으로 한 방송사는 아직까지 왕성한 내부비판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면경쟁 등 신문사들의 무한경쟁으로 현재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 신문은 공정보도 활동이 거의 유명무실해있는 상태다.

자사 이기주의로 인해 편집권 독립이나 치열한 자기비판 의지가 사라지는 것을 어떻게 극복할 지도 이후의 언론개혁 과제의 하나라는 게 언론계 안팎의 목소리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