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메시지의 핵심이 아닌 예시로 들며 지양하자고 한 부분이 언론보도에서 초점을 맞춰 아쉽다고 주장했다.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는 10일 페이스북에 “어제(9일) 오랜만에 국회를 찾아 모두 발언에서 ‘대선판’을 바꾸자는 이야기를 했다”며 “대선 후보들간 토론 수준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 후보들 간 논쟁은 두 개로 모아진다. 첫째는 과거이야기, 둘째는 흠집내기”라며 “미래비전, 경제, 글로벌에 대한 주장이나 토론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전 부총리는 “이대로 가다가는 국민들께서 포장지 안에 들어있는 상품은 보지도 못하고 선택을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며 “불량상품이 들어있는지를 물건 구매한 뒤 확인할 수 있다면 너무 불행한 일”이라고 했다.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지난 9일 대선 출마선언 이후 처음 국회 소통관을 찾아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김동연 캠프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지난 9일 대선 출마선언 이후 처음 국회 소통관을 찾아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김동연 캠프

 

그는 “내 주장의 핵심은 정치판 바꾸기, 정치세력 바꾸기의 첫 단추로 ‘대선 주자들 간 논쟁 수준부터 바꾸자’는 것이었다”며 “그러나 대부분 보도된 내용은 이런 핵심보다는 예시로 들었던 고발사주, 변호사비용 대납에 초점이 맞춰져 많이 아쉬웠다”고 했다. 

김 전 부총리 국회 기자회견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들이 가장 주목한 내용은 그가 네거티브의 예시로 들었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관련 ‘고발 사주 의혹’이나 이재명 경기도지사 관련 ‘무료 변론 논란’과 거대양당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그가 다른 후보와 단일화를 하지 않겠다고 밝힌 내용 등이다.

이는 후보자의 핵심 정책보다는 현재 이슈가 되는 사안에 대한 입장과 진영논리 등을 중요시하는 정치보도 관행 탓이다. 

김 전 부총리는 9일 국회에서 두 가지를 강조했다. ‘기득권공화국에서 기회공화국으로 바꾸자’와 ‘정치판·정치세력을 바꾸자’는 메시지였다. 그는 “기회독점을 해체하고 기득권을 깨야하는데 그 대상은 대통령, 국회의원 재벌, 관료, 심지어 노조도 해당한다”며 “더 많은 기회를 만들고 고른 기회를 주는 기회할당제를 진행하겠다”고 했다.  

그는 또한 “정당 경선 과정에서 논의되는 얘기를 보면 과거 얘기, 남 흠집내기·네거티브인데 난 국민 여러분께 대한민국의 방향을 만들기 위해 어떤 방법이 필요한지 토론이 이어지고 의제를 형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후보들 간 공약의 70~80%가 비슷한 가운데 다른 후보가 되더라도 발목을 잡을 게 아니라 함께 추진할 수 있도록 ‘공통공약추진시민평의회’를 제안해 정치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시민들도 함께 참여하는 플랫폼이라고 했다.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관련 보도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관련 보도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관련 보도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관련 보도

 

기자회견 이후 기자들과 질의응답에서 김 전 부총리가 받은 첫 질문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금태섭 전 의원 등 제3지대의 남은 사람들과 연대가능성과 정치적 기반인 경장포럼 출범시기”였다. 김 전 부총리는 “현재 안 대표와 만날 계획은 없다”면서 “경장포럼은 추석 이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후 김 전 부총리는 “속된 말로 간을 본다, 너무 늦었다는 평가를 받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윤석열 후보가 고발사주 의혹을 받는데 이에 대한 생각은?”, “제3지대 출마를 선언했는데 정당이 없는데 어떻게 이끌어 나가나?”, “지지율 상승 복안은? 다른 후보와 단일화를 염두에 두는지” 등의 질문을 받았다. 

김 전 부총리는 “대한민국에서 진입장벽이 가장 높은 게 정치시장이고 현재 정당구조에 대해 비판적”이라며 “디지털 정책 플랫폼을 활용해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정치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창당이라는 표현보다 지금의 정당과 다른 방법의 아래로부터의 반란, 직접민주주의가 가미된 정치플랫폼을 만들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