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규정이 1997년 재판 이후 ‘폭동’에서 ‘민주화운동’으로 바뀌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민간 차원의 왜곡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전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은 정부 주도로 전통 미디어를 활용하는 방식이었다면 2002년 이후 민간 주도로 확산됐고 최근에는 유튜브 등 뉴미디어를 통해 대중적으로 퍼졌다는 진단이다.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회장 김덕모 호남대 교수)는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위원장 송선태)와 공동으로 14일 서울 중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에서 ‘5‧18 역사왜곡 실태 및 과제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덕모 회장은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41년이나 됐지만 아직까지 발생 원인과 책임 소재조차 불분명하다. 최근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역사 왜곡과 왜곡 보도가 계속해서 나오는데 근본적 해결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의 연구위원은 역사 왜곡 실태를 다룬 ‘5‧18 민주화운동 왜곡의 기원’을 발제했다. 이 위원은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허위사실을 날조한 사람을 처벌할 수 있게 됐지만 일반 국민이 유언비어에 속지 않도록 사회 각계각층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출처=이재의 연구위원.
▲사진출처=이재의 연구위원.

이 위원은 5‧18 왜곡 배경에 “1988년 청문회와 1997년 재판 이후 ‘폭동’에서 ‘민주화 운동’으로 변화했고 이런 성격 변화는 오히려 5‧18을 왜곡하는 반작용을 수반했다”며 “일부 극우적 인사들은 이미 법적 평가가 완성된 역사로서의 5‧18을 공격했다. 2002년 무시해도 좋을 만큼 작은 목소리의 왜곡 세력들은 20여년이 경과하는 사이 ‘태극기 부대’라는 거리의 정치세력으로까지 성장했다”고 짚었다.

이 위원은 “1980년~1999년 왜곡은 전통적 미디어를 활용한 정부 주도 왜곡이라면, 2002년 이후는 민간을 통해 북한군 개입 등 새로운 왜곡 양상이 일어났다”며 “이 시기 왜곡 특징은 민간이 주도한다는 점이다. 유튜브 등 뉴미디어를 활용해 대중화에 용이했고 태극기 부대와 결합했다”고 밝혔다.

▲사진출처=이재의 연구위원.
▲사진출처=이재의 연구위원.

이 위원은 “5‧18은 우리사회 민주화 진전에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다. 왜 우익 인사들이 5‧18을 그렇게 필사적으로 공격하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국민 의식이 성장해 군사주의와 반공주의가 설 자리가 좁아지며 ‘반공-친북’이라는 프레임이 ‘민주-반민주’라는 프레임으로 변화했다. 그런데 극우세력들은 또다시 ‘민주-반민주’ 프레임을 ‘좌익-우익’의 프레임으로 변화시키려고 5‧18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철수 고구려대 교수는 ‘5‧18 민주화운동 언론보도와 왜곡보도 문제 및 과제’를 발제했다. 강 교수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5‧18 왜곡 시도를 지난해 개정한 5‧18민주화운동특별법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 법에 허위사실 유포 금지 조항이 신설됐고 처벌 규정도 명시돼 있다.

저널리즘 측면에서의 과제로 강 교수는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객관 보도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교수는 “발굴 보도 저널리즘 활성화와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며 최근 발굴 보도 사례로 지난해 4월 JTBC의 “5‧18 최초 발포, 신군부의 거짓말 깬 ‘장갑차 사진’”을 꼽았다. JTBC 기사는 장갑차에서의 최초 발포를 부인해온 신군부 주장을 반박 검증했다. 

강 교수는 “역사적 사료를 하나하나 재구성하고 검증하면서 컴퓨터에 기반한 기술을 이용한다든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탐사보도 기법 등을 활용해 당시 사실을 발굴 보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