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에서 유료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가 시작된다. 국내 최대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가 구독기반의 유료화 모델을 선보이는 것이어서 콘텐츠 창작자는 물론 언론계에도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네이버는 13일 “창작자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제작, 결제, 데이터 분석 등 고도화된 기술들이 적용된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의 CBT(시범 서비스) 버전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현재 네이버에서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를 검색하면 “콘텐츠가 올바른 가치로 평가되고 공유되는 곳”이라는 설명과 함께 홈페이지가 등장한다. CBT 기간에는 네이버가 미리 섭외한 25개 채널로 운영된다. 현재 중앙일보의 ‘글로벌머니’, 조선일보의 ‘땅집고’와 한겨레의 ‘코인데스크 프리미엄’ 등이 눈에 띈다.  

이용자들은 1개 채널을 한 달간 무료 체험할 수 있다. 네이버는 “CBT 기간 동안 플랫폼 안정성을 높이고, 창작자와 사용자 양쪽의 피드백을 모두 검토해 상반기 중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정식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식 출시 이후엔 언론사를 비롯해 누구나 창작자가 될 수 있으며 콘텐츠 형식은 다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CBT 채널에 포함된 머니투데이 ‘소소소설’은 소설형식으로 알려졌다.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모바일 메인화면. 

네이버는 이번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을 가리켜 “SME(중소상공인)들이 활동하고 있는 스마트스토어와 구조가 비슷하다. 네이버가 콘텐츠 편집, 결제, 정산 관리, 데이터 분석, 프로모션 운영 등 콘텐츠 판매에 필요한 고도화된 툴과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으며 “기술을 손에 쥔 창작자는 콘텐츠 주제와 내용, 형식뿐 아니라 상품 구성이나 가격 정책 등을 모두 직접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김은정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 담당 리더는 보도자료를 통해 “하나의 주제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고 깊이있게 분석하는 전문가 수준의 창작자들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고, 경쟁력 있는 콘텐츠에는 기꺼이 돈을 내고 감상하는 사용성이 글로벌에서도 이미 자리잡고 있다”며 “창작자 입장에서는 유료 구독자를 만나고, 이를 통해 콘텐츠 경쟁력을 높여볼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콘텐츠는 △단건 판매 △월간 구독 △최대 100명까지 이용 가능한 그룹 이용권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TV, 언론사 홈 중 창작자가 원하는 채널에 신설한 ‘프리미엄 탭’과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 페이지를 통해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콘텐츠 가격은 창작자가 결정하고, 수익 배분은 9(창작자):1(네이버)로, 네이버는 결제 수수료를 가져간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에서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만으로 네이버에 이익”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