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광고규제가 유료방송 수준으로 완화되며 지상파 주요 프로그램 광고가 늘고, 중간 광고 시청률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런 분석에 일부 신문은 불편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유료방송과 달리 중간광고가 금지됐던 지상파 방송사들은 오는 7월부터 중간광고를 편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1·2부 등으로 나눠 광고를 끼우는 지상파의 기존 ‘유사중간광고’(PCM) 방식이 아니라, 1회 프로그램 중간에 광고를 넣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프로그램 분량이 45분 이상이면 1회, 60분 이상은 2회, 1시간 이상은 30분당 1회씩 회당 1분 이내 광고를 틀 수 있다.

지상파 방송사 등의 광고 판매를 대행하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는 지난달 2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KBS(2TV)·MBC 주요 10개 예능·드라마 광고시간이 평균 26%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채널별로는 KBS 23%, MBC 31% 수준이다. 10개 프로그램의 지난해 11월 PCM은 5835초였는데, 중간광고 방식으로 바뀌면 7380초로 늘어날 거란 관측이다.

▲왼쪽부터 KBS, MBC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왼쪽부터 KBS, MBC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코바코는 두 채널의 중간광고 시청률도 평균 17% 정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채널별 대표 예능프로그램의 중간광고 시청률은 MBC ‘놀면 뭐하니’의 경우 13%, KBS ‘1박2일’은 3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바코는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양사 광고주의 구매 우선순위”가 높아질 것이라며 “지상파는 킬러 콘텐츠는 물론 평균 시청률도 타 매체보다 높은 편으로, 중간광고 도입 시 유료방송보다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관련 보도가 이어진 가운데 일부 신문은 유독 부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각각 채널A, JTBC와 같은 계열사인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다. 중앙일보는 3일 “지상파 중간광고로 광고량 26%, 광고 시청시간 10% 늘어난다”란 제목의 기사에서 “중간광고 도입은 오히려 지상파 이탈을 가속화 할 수 있다”며 “지상파는 오히려 광고주의 영향력에 종속되고, 자극적이고 상업적인 방송 위주로 편성을 하는 압박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을 붙였다.

▲5월3일자 중앙일보 기사 제목(위)과, 5월4일자 동아일보 지면 기사
▲5월3일자 중앙일보 온라인 기사 제목(위)과, 5월4일자 동아일보 지면 기사

동아일보는 4일 “지상파, 중간광고 땐 광고시간 26% 늘어…‘시청권 침해’ 우려 증폭”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지상파 방송사들은 1시간짜리 드라마를 20분씩 3부로 쪼개 PCM 광고를 하는 경우도 있다. MBC와 SBS는 메인뉴스마저 1·2부로 나누고 PCM을 집어넣어 시청권을 해치고 있다”며 “수신료를 받는 KBS의 경우 방만한 경영을 개선하지 않고 중간광고까지 도입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20분씩 3부 쪼개기 편성’은 앞으로 불가능해진다.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은 일찍이 시청권 침해 우려를 받아왔다. 방송사 재원 마련에 앞서 방송산업의 체질 개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동시에 사실상 경쟁사인 종합편성채널 관련 신문들이 지상파 비판만 높이는 행태는 이해충돌이라는 지적도 가능하다.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최근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을 비판할 수 있고 언론으로서 보도할 만한 사안이지만 타당한 논리를 갖추는 것은 물론 엄격한 잣대로 자신들을 돌아보는 염치는 있어야 했다”며 “최소한 이해충돌이 되지 않도록 공정하게 보도해야 한다는 윤리의식은 갖춰야 한다”고 꼬집었다. 예컨대 시청권 침해 이슈를 꺼내려면 종편에서 편성되는 중간광고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식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