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가 전국을 9개 권역으로 나누고 특별심사를 거쳐 권역마다 지역언론 1개 사를 뉴스콘텐츠제휴(CP)사로 입점시키겠다고 결정한 것을 두고 전국언론노동조합이 “1도(道)에 1사(社) 소주’만을 팔게 한 군사독재 시절이 떠오른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언론노조는 “말이 심사이지 9개 ‘특설 링’을 깔아줄 테니 지역언론끼리 치고받고 싸우란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노조는 4일 성명을 내고 “9개 권역이란 기준도 납득이 안 되지만, 이번에도 포털은 밀실에서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의 이름으로 ‘치졸한 갈라치기 정책’을 결정했다”고 비판 한 뒤 “(언론노조는) 제평위에 지역 언론사의 선정기준을 제시했고, 신문법 개정을 통한 위치기반(IP) 지역언론 우선 노출을 요구하기도 했으나 이런 목소리에 포털은 여태 감감무소식”이라고 밝혔다. 현재 카카오 137개 CP사 가운데 지역매체는 없다. 네이버 75개 CP사 가운데 지역매체는 3개사다. 

▲네이버와 카카오.
▲네이버와 카카오.

앞서 제평위는 4월23일 ‘지역매체 특별 심사규정’을 의결했다. 최민재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5월1일자 신문협회보 기고글을 통해 “이번 지역매체 특별 심사 트랙은 기존 제평위 입점평가 시스템과 비교하면 지역매체에게 파격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9개 권역에서 상대평가 시스템으로 1위만 하면 CP사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심사는 분명히 지역매체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시키는 매우 좋은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언론노조는 당장 9개 권역 구분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언론노조는 “인천·경기, 강원, 세종·충북, 대전·충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전북, 광주·전남, 제주 등 9개 권역은 해당 지역민들조차 수긍할 수 없는 해괴한 분할이다. 부산·울산·경남은 지상파 방송사도 복수로 존재하며 전혀 다른 생활권과 지자체들로 나뉜다”고 비판했고 “서울보다 더 많은 인구를 가진 인천·경기는 한곳으로 묶었다. 지역신문과 지역방송은 관련 지원법도 다른데 포털은 이종격투기라도 하라는 얘기인가”라고 주장했다. 

언론노조는 “지역언론사 심사기준은 기존 제휴사 심사와 달라야 한다”고 강조하며 “자체 기사 30% 중 지역 자체 기사 80%라고 알려진 (지역매체 특별 심사) 기준만으로는 지역 공론장 형성에 기여하는 언론사와 지자체 홍보지로 전락한 언론사를 구분할 수 없다. 지역 저널리즘 평가에서는 지역 정치·경제·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지역 언론과 포털의 CP 제휴 근본 목적은 지역 저널리즘에 대한 지원이지 시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언론노조는 “양대 포털은 지역언론에 대한 지원방안을 내놓거나 국회가 논의하는 ‘기금’에 답해야 한다”며 CP입점 지역언론 심사기준과 항목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공개 토론회를 제안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