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이 네이버·다음 등 기존 포털이 저널리즘과 공론장을 망가뜨리고 있다고 지적하며 미디어바우처와 연동한 공영포털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의겸 의원은 27일 ‘언론개혁, 누군가는 시작해야 합니다’란 제목의 열린민주당 열린정책연구원 주최 토론회에서 “포털의 보수화 못지않게 포털에 의한 저널리즘의 질적 하향 평준화가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 진중권 전 교수 발언이 그대로 기사화되어 포털에 노출되는 현실을 가리켜 “진중권 가라사대 기사작법”이라고 꼬집은 뒤 언론과 포털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며 정치적 담론장을 타락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겨레 기자 출신인 김 의원은 “포털의 목적은 돈을 버는 것이다. 알고리즘이라는 눈먼 기계로 사람의 이목을 끄는 기사를 많이 노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알고리즘 뒤에 숨에 무책임하게 중립을 주장하고 있다”면서 “기자도 피해자다. (포털이라는) 악마의 맷돌에 갈려져 나가는 힘없는 존재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자들을 보면 파블로프의 개가 생각난다. 클릭 소리에 조건반사적으로 반응한다. 매 순간 무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다. 좋은 기사가 돋보이는 게 아니라, 돋보이는 기사가 좋은 기사가 되어버렸다”고 진단했다. 

김의겸 의원은 이 같은 상황을 두고 “네이버·다음이라는 유통 업자와 공급업자 족벌언론의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악마의 맷돌이 돌아가고 있다. 포털은 너무 중요해서 포털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 알고리즘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며 “가칭 ‘열린뉴스 포털’, 공영포털을 만들어 보자”고 공식 제안했다.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이 27일 열린민주당 열린정책연구원 주최 토론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이 27일 열린민주당 열린정책연구원 주최 토론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김 의원은 “정부는 공적 기금을 이용해 공영포털에 지원해야 한다. 시민사회 각 전문가들이 모여 신뢰할만한 편집위원회를 구성해 원칙을 가지고 편집하고 공영포털에 들어오는 신문사에는 정부광고를 우선 집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어 “관제 포털이 아니다. 정부는 지원만 하되 운영에 간섭하지 않는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면서 “신문유통원의 디지털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정부는) 시민들이 폭넓은 언론매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더불어 “미디어바우처를 공영뉴스포털과 결합시키자”고 제안했다. “공영포털에 로그인해서 들어온 사람들에게 일정 금액을 주고 그 사람들이 언론사를 후원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 그는 “연간 1조가 넘는 정부 광고의 절반에 해당하는 5천억 정도의 규모로 미디어바우처를 만들면 연간 500만명에게 10만원씩을 줄 수 있다”고 했으며 “공영포털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자기가 좋아하는 기사와 언론사에 후원할 수 있게 한다면 이러한 경험이 곧 미디어리터러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공영포털의 접근성을 고려해 네이버·다음 주요화면에 공영포털 배치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