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보도본부가 지난해 고정형TV 시청률과 유튜브 조회 수 등 온라인 지표에서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뉴스 프로그램의 새로운 광고 도입 등으로 수익도 늘었다. 디지털 뉴스 부문의 경우 유튜브 채널을 통한 월평균 수익이 1억여 원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MBC는 지난해 6월 메인 뉴스 ‘뉴스데스크’에 분리편성광고(PCM·premium commercial message)를 도입했다. 프로그램을 1,2부로 나눠 사이에 편성하는 광고로 광고비가 비싸다는 점에서 ‘프리미엄 씨엠(CM)’이라 불리는 한편 ‘유사중간광고’라 불리기도 한다. MBC 보도본부는 PCM 도입으로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33억여원의 수익을 올렸다.

민병우 MBC 보도본부장은 12일 MBC 관리 감독기구이자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뉴스 중간에 2분이라는 다소 긴 PCM으로 시청률을 손해 봤음에도 2020년 평균 뉴스데스크 시청률이 평일 기준 2019년 대비 4.2%에서 6%로 수직상승했다”고 자평했다. MBC와 마찬가지로 뉴스에 분리편성광고를 넣은 SBS와 관련해서는 “SBS가 우리보다 뉴스는 20분 짧고 PCM은 4분의1이라 상대적으로 (시청률에서) 불리하지만 방법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MBC 사옥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MBC 사옥

디지털 뉴스 부문에 대해선 “유튜브를 통해서만 거둬들인 이익이 (전년 대비) 월평균 3700만 원에서 1억3000만원으로 4배가량 늘었다”고 밝혔다. 민 본부장은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1년 간 110% 이상 늘었다. 지난 10일 현재 115만 명이다. 유튜브를 통한 2020년 연간 조회 수는 2970여만회에서 258% 늘어 1억654만회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다음·네이버 포털 통한 조회 수도 10% 이상 늘었다”고 설명했다.

보통 방송사를 비롯한 언론사에서 보도 영역은 돈을 벌어오기보다 쓰는 부서로 인식된다. 직접적인 수익 창출 활동을 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MBC 업무보고에서는 지난날 수익을 담보했던 예능·드라마 등 부문이 코로나19와 미디어환경 변화로 고충을 토로했고, 오히려 보도본부가 수익 성과를 보고하는 이례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이와 관련 신인수 방문진 이사는 지난해 MBC 역할에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본부장 보고 중에 ‘뉴스 수익’ 얘기를 하셔서 조금 당황스러웠다. 뉴스나 보도나 공적 서비스 아닌가. 사장이 (수익을) 내라고 하면 싸우시면 좋겠다”며 “혹시라도 PCM 도입으로 뉴스경쟁력이 약해진다면 그건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 같다. 본부장이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하고 개선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 이사는 MBC가 경제위기 속에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택배ㆍ배달플랫폼 노동자, 소상공인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다룬 것에 대해선 “최근에도 배달노동자분으로부터 MBC 뉴스를 보고 위안을 얻었다는 말씀을 들었다. ‘스피커’가 없는 분들을 위해 올해도 좀 더 천착해주셨으면 하는 당부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MBC 뉴스 유튜브 채널
▲MBC 뉴스 유튜브 채널

이 같은 지적에 민 본부장은 “사회적 약자 보호는 공영방송의 대표적인 덕목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지속적으로 약자들의 피해를 회복 할 수 있는 보호 방안을 보도로 다룰 생각”이라고 답했다. 이어 “수익 관련해 지나치게 보고를 드린 건 자랑스러워서 말씀을 드린 측면이 있다”고 했다.

민 본부장은 “보도본부는 기본적으로 자책감이 있다. 프리랜서 포함하면 600명이 넘는다. 전체 인원 4분의1을 넘는 수준인데 이 많은 인력이 회사 수익창출에 기여를 못 한다”며 “PCM을 도입했다고 뉴스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건 아니고, 처음 시도하면서 검토해봤더니 수익이 났다는 것이다. PCM이나 광고를 위해 뉴스 콘텐츠를 건드리는 건 절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민 본부장은 MBC 내부의 전문기자 양성 시스템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의사 자격증을 가진 의료전문기자, 변호사 자격증을 가진 법률 전문기자 같은 형태를 탈피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특정 분야 전문기자들이 의외로 편견에 빠져있다는 지적도 있었다”며 “차라리 기자에게 특정 분야 취재를 지속적으로 맡겨서 역량을 키우고 전문가적 기자를 만들자는 개념을 생각하고 있다. 대표적 분야가 복지전문, 환경전문, 통일외교전문 등”이라고 말했다. 선발위원회 등을 통해 7년차 이상은 ‘예비’, 10~13년차는 ‘전문기자’로 선발하고 전문기자에게는 보직자에 준하는 대우를 보장하는 방안 등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