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설립 이후 언론사 최고등급 제휴인 콘텐츠 제휴 합격률은 0.77%로 나타났다. 지난 5년 간 콘텐츠 제휴 합격 매체는 8곳에 그쳤다. 같은 기간 포털 검색 결과에만 노출되는 검색제휴 합격률은 10.5%였다. 포털 검색에 노출되지 않는 언론사들이 존재를 알리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26일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설립 5년을 맞아 개최한 세미나에서 발제자·토론자 다수는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발제자와 토론자는 모두 전현직 제휴평가위원이었다.

“진입장벽 낮추고 제재 강화해야”

배정근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제휴평가위를 향한 비판들을 언급하며 “높은 진입장벽에 비해 퇴출은 적은 구조라 제휴 매체의 기득권을 보호한다는 비판은 설득력이 있다”고 했다. 또 다른 발제를 맡은 유경한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역시 “검색제휴 심사 탈락 비율이 90%라는 건 과도하게 심사가 엄격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 배정근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 배정근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 유경한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유경한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두 발제자가 제시한 제휴심사 개선안은 모두 검색 제휴 입점 심사 폐지를 골자로 한다. 기본적인 자격만 갖추면 뉴스 검색 결과에 노출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포털이 전재료를 지급하는 콘텐츠 제휴는 별도로 심사한다. 유경한 교수는 콘텐츠 제휴 심사 기준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두 발제자는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과 동시에 퇴출 심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배정근 교수는 “검색제휴 폐지로 검색매체가 급증하는 것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제재와 재평가 기능을 대폭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양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휴심사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유경한 교수는 “젠더와 인종, 환경 등 다양성 주제를 전문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 다루는 언론에 입점 우대 정책이 필요하다”며 “기사 노출에 있어서도 사회적 다양성 주제 기사의 경우 일정 비율로 노출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유경한 교수는 지역매체 입점 활성화를 비롯해 현재 논의 중인 지역매체 가산점안, 지역별 할당제(쿼터제) 등의 실행력이 담보돼야 한다고 했다.

발제자와 토론자 다수는 제휴 심사 외에 배열과 노출, 서비스 개선 등에도 제휴평가위가 관여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임장원 KBS 시사제작국장은 “앞으로 제평위와  포털은 건강한 저널리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 구조를 해체하고 전문적인 심의기구로 재편해야 한다”며 ‘뉴스 생태계 전반’을 논의하는 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임장원 KBS 시사제작국장.
▲ 임장원 KBS 시사제작국장.

언론사 단체 많은데 언론시민단체는 한 곳뿐

제휴평가위 구성에 대한 견해에는 온도 차가 드러났다. 이선민 시청자미디어재단 정책연구팀 박사는 “현재 제평위 구성은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선민 박사는 “제평위에서 생산자(언론사) 단체가 6곳을 차지한다. 반면 시민단체는 4곳인데, 시민단체 숫자가 적은 것도 문제지만 생산자 단체는 (신문, 방송, 인터넷신문 등 여러 분야를) 세심하게 선정한 데 반해 시민단체는 미디어와 관련성이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생산자 단체가 불편해하지 않은 선에서 추린 게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제휴평가위 내 언론·미디어 시민단체는 언론인권센터가 유일하다.

이선민 박사는 “대형 언론사 출신 위원들이 언론사 퇴출에 방어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많이 봤다. 자신들이 겪을 수 있어서 그러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언론사 소속 위원이 언론 전반의 이해관계에서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이선민 시청자미디어재단 박사.
▲ 이선민 시청자미디어재단 박사.

이근영 프레시안 경영대표는 참여 단체 간 권한에 차이가 있는 ‘이중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제휴평가위는 심의위원회와 운영위원회로 나뉜다. 심의위는 시민단체 등을 포함한 전체 15개 단체로 구성돼 있고, 운영위는  설립 준비 때부터 참여한 언론 유관단체 7곳을 말한다. 그간 운영위 단체들은 권한을 키우려는 행보를 보여왔다. 

이근영 경영대표는 “심의위이자 운영위 권한을 가진 단체들은 자신들이 더 큰 파워를 갖는 집단이라고 생각한다. (이중구조가 아닌) 동일하게 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추천 단체를 개선하지 않더라도 이해충돌 소지를 개선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김성순 법무법인 한일 변호사는 “이해충돌 문제는  해결돼야 할 과제다. 추천단체를 현행대로 하더라도 현업인(언론인)이 들어오냐 아니냐는 다른 문제다. 기존 추천 단체에서도 논란의 당사자를 피해서 추천할 수 있다”고 했다.

▲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도.
▲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도.

반면 이근영 경영대표는 “이해관계가 없는 단체가 있나?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오히려 이해관계자가 아니기에 관심이 없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에 평가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포털은 왜 링에 들어오지 않나”

제휴평가위 설립 이후 포털이 저널리즘에 대한 책임을 외주화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많다. 이날 참석한 전현직 위원들 역시 포털이 책무를 다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이희정 전 한국일보 미디어전략실장은 “왜 네이버와 카카오는 이런 논의에서 빠져 있나. 오늘 세미나에서도 포털측에서 나와 그간 무엇을 얻었고, 무엇이 부족하고, 어떻게 미래를 그려갈 것인지 함께 논의해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김성순 변호사 역시 “포털은 왜 링만 깔아놓고 올라오지 않느냐. 이 장은 언론과 포털 사이의 싸움인 면이 있다. 포털이 당사자”라고 강조했다.

▲ 이희정 전 한국일보 미디어전략실장.
▲ 이희정 전 한국일보 미디어전략실장.
▲ 김성순 법무법인 한일 변호사.
▲ 김성순 법무법인 한일 변호사.

이선민 박사는 포털과 함께 언론 역시 각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문제가 된 광고행위가 제휴 심사규정에 없는데 알고 보니 포털과 언론 계약 사항에 금지 조항으로 있었다. 포털이 단호하게 대처할 수 있다”며 자체 판단을 하지 않고 제휴평가위에 넘기는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선민 위원은 “뜨거운 감자인 광고성 기사와 보도자료 기사 문제는 수년동안 해결되지 않았는데 언론이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 언론의 각성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김성순 위원 역시 “활동을 하면서 언론사 분들이나 언론을 대변하는 분들이 경영의 자유로 볼 이슈를 언론의 자유로 포장해 의문이 들었다”고 했다.

▲ 25일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5년 공과 웨비나 모습.
▲ 26일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5년 공과 웨비나 모습.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