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이용자 10명 중 6명가량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유튜버를 유튜브에서 퇴출시키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2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유튜브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 따르면 유튜브 채널 규제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2%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운영 기준을 심각하게 위반한 유튜버는 (유튜브에서) 완전히 퇴출시키는 등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택했다. “유튜브 운영 기준에 위배되는 콘텐츠에 노란 딱지를 붙여 수익을 제한할 수 있는 현행 규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입장은 19.5%로 나타났다. 반면 “유튜버의 자율적 규제를 위한 세심한 가이드라인 등은 제공하되 간섭이나 제재는 하지 않는다”는 입장은 18.6%, “유튜버들과 유튜브 이용자들의 자율적 판단과 행동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은 4.7%에 그쳤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유명인들이 유튜버로 활동하는 것에 대해서도 ‘유튜버 활동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 45.8%, ‘유튜버로 활동할 수 없게 규제해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이 27.6%로 나타나 부정적 여론이 7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론장에서 퇴출된 이들이 유튜브에서 혐오 또는 분노를 조장하며 수익을 올리는 것이 사회적 문제라고 인식한 결과로 보인다. ‘유튜버로 활동하는 것은 그들 자유다’라는 입장은 17.7%, ‘전혀 문제 될 것 없다’는 입장은 8.9%에 그쳤다. 

▲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언론재단 
▲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언론재단 

유튜버가 갖춰야 할 자질로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된 항목은 △내용에 대한 사실 검증(78%) △타인에 대한 존중(70.2%) △도덕성/윤리의식(69.3%) 순이었다. 유튜버 관련 유형별로 매우 심각하다고 인식된 항목은 △가짜뉴스 전파(87%) △어린이나 장애인 등 약자 착취(82.7%) △유명인 및 알려진 사건 악용(74%) △일명 ‘벗방’으로 불리는 노출 방송(65.1%) 순이었으며 ‘뒷광고’라는 응답도 44.3%로 나타났다. 앞서 아동 성폭행범 조두순 출소 후 라이브 중계, 아동학대로 사망한 정인이와의 영적 대화 등이 ‘유명인 및 알려진 사건 악용’의 일례다. ‘벗방’의 경우 성별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남성은 47.3%가 심각하다고 답한 반면, 여성은 83.8%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
▲유튜브. 

 

초등학생 희망직업 3순위 ‘유튜버’ 우려스럽다 71.7%

응답자의 70.6%는 유튜버가 ‘독자적인 직업’이라고 답했으며 ‘취미나 여가활동’이란 응답은 29.4%였다. ‘정치인’의 유튜버 겸업에 대해서는 부정 평가가 63.2%였으며 의사·변호사·과학자 등 전문가들의 유튜버 활동은 긍정 평가가 88.3%로 높게 나타났다. 언론인의 유튜버 겸업의 경우 긍정 평가 55.8%, 부정 평가 44.2%였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19년 12월 발표한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 희망직업 3순위에 유튜버가 올랐는데(1위는 운동선수, 2위는 교사), 이처럼 희망직업 상위권에 ‘유튜버’가 오르는 것을 두고 응답자의 71.7%는 “우려스럽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1주일간 유튜브 이용 평균 시간은 583분(9시간 43분)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장르(복수 응답)는 여행·제품리뷰·브이로그 등 생활정보 콘텐츠(45.8%), 경제·금융·제테크(43.2%), 드라마·예능(43.1%), 뉴스·시사정보(42.3%), 음악·댄스(39.9%) 순이었다. 구독 채널은 평균(중위수) 6.5개였는데, 1~5개라는 응답이 33.4%로 가장 높았고, 6~10개가 21.5%, 11~29개 17.2%, 30개 이상이 14.1%였으며 구독 채널이 전혀 없다는 비율도 13.8%로 나타났다.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운영하는 사람은 응답자의 6.4%였고, 운영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응답자의 39.1%는 앞으로 운영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슈퍼챗 후원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6.9%였다. 

언론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응답자들이 ‘내용에 대한 사실 검증’, 즉 허위정보나 가짜뉴스를 유포하지 않는 것을 가장 중요한 ‘유튜버’의 자질로 꼽았으며, ‘유튜버’와 관련된 사회문제 유형들 가운데 ‘가짜뉴스 전파’를 가장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적지 않은 이용자들이 유튜브를 이미 ‘저널리즘’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는 마크로밀엠브레인의 패널을 바탕으로 지난 3일~9일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