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1면 : 김명수, 미얀마, 설.

9일 아침신문이 주목한 키워드는 ‘김명수’ ‘미얀마’, 그리고 ‘설’이다. 한겨레와 동아일보는 1면 사진기사를 통해 미얀마 쿠데타 이후 시민들이 저항하는 가운데 경찰이 물대포 등 공권력을 동원해 진압하는 모습을 담았다.

보수신문은 김명수에 주목했다. 동아일보는 1면 톱 기사를 통해 최근 대법원이 단행한 법원 법관 인사를 두고 판사들 사이의 비판을 전했다. 조선일보는 김명수 대법원장이 본인 임명동의안에 대한 국회 인준 표결을 앞두고 임성근 부장판사에게 직접 야당 의원을 상대로 한 로비를 부탁하는 등 조직적으로 움직였다는 소식을 1면 톱 기사로 다뤘다.

▲ 9일 아침신문 1면 모음.
▲ 9일 아침신문 1면 모음.

설을 앞두고 설 관련 기사도 1면에 나왔다. 경향신문은 “님아, 동해 망상 IC를 건너지 마오” 문구가 담긴 설연휴 고향방문 자제 현수막을 1면 사진으로 썼다. 국민일보 1면 사진은 부산에서 설 구호품을 전달하는 대한적십자사 봉사자들의 모습을 담았다.

한겨레는 ‘최숙현 사건 그 후’ 기획기사를 통해 스포츠계의 성적 지상주의와 인권 침해 문제를 조명했다. 한국일보는 “건당 12분 심사...벽돌 찍듯 날림 법안 찍어낸 국회” 기사를 내고 법안 발의 현황을 분석했다. 지난해 발의된 법안이 7164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지만 정작 발의한 의원들조차 법안을 제대로 모른다는 지적을 담았다. 또한 아침신문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고충과 백신 문제를 꾸준히 주목하고 있었다.

포스코 노동자 또 사망, 홍보 기사에 덮였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또 다시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가 사망했다. 8일 오전 9시34분께 포항제철소에서 협력업체 직원이 기계에 몸이 끼였고, 병원에 옮겨졌지만 오전 11시께 숨졌다. 그는 철광석 등 원료를 옮기는 언로더의 컨베이어벨트 설비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던 중 언로더가 갑자기 작동하면서 사고를 당했다. 

포스코 노동자 사망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한겨레는 “최근 두 달 새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노동자 2명이, 광양제철소에서 노동자 3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는 사고가 발생한 언로더와 장치를 조작하는 운전실이 멀리 떨어진 곳에 있고 현장 상황을 모니터로 볼 수 있는 CCTV도 설치되지 않은 점 등을 지적하며 “김용균 판박이 사고” “가장 기본적인 안전관리 대책조차 등한시했음이 드러났다”고 했다.

▲ 9일 한겨레 기사.
▲ 9일 한겨레 기사.

그러나 이날 노동자의 사망 소식은 보수언론과 지역신문에선 찾아보기 힘들었다. 오히려 ‘포스코 홍보’ 기사로 덮였다. 

9일 서울지역 종합일간지 가운데 경향신문, 한겨레, 세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등 5개 일간지가 관련 사안을 보도했다. 반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 매일경제, 서울경제, 한국경제 등 다수의 일간지와 경제 신문에서는 사고 소식을 찾아볼 수 없었다.

▲ 9일 포스코 회장의 사내 소통 행보를 담은 지역신문 보도. 다수 경북지역 신문이 이 소식을 보도했다.
▲ 9일 포스코 회장의 사내 소통 행보를 담은 지역신문 보도. 다수 경북지역 신문이 이 소식을 보도했다.

오히려 포스코가 위치한 지역 신문에서도 사고에 주목한 언론을 찾기 힘들었다. 대경일보, 경상매일, 대구신문, 경북도민일보, 경북매일, 경북신문 등은 포스코가 사내 MZ세대의 혁신 아이디어를 듣는 등 젊은 세대와 소통에 나선 소식을 다뤘다. 서울 지역 언론 가운데는 동아일보, 한국경제, 서울경제, 매일경제가 이 소식을 다뤘다. 다수의 기사는 최정우 포스코회장이 젊은 직원들과 환하게 웃으며 사진을 찍는 모습의 사진을 썼다. 포털 네이버에서 해당 기사는 60건이 넘게 올라왔다.

지역 언론 가운데 매일신문은 1단 단신 기사로 사고 소식을 다뤘다. 다만. 포스코에서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거나, 안전 관리 부실 문제가 대두된다는 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포스코 관계자는 “해당 보도자료는 지난 1월 올해 처음으로 사내공모를 통해 선발한 ‘2021년 영보드 위원’과 그동안 영보드의 활동 성과를 대내외에 알리고, 포스코가 MZ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기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1월13일부터 보도자료 준비를 시작했고 2월5일 내용 및 배포 일시를 확정했다. 해당 보도자료는 2월8일 사고 발생 전인 오전 9시경 14시 이후 보도를 요청하며 배포한 것”이라고 말했다.

▲ 9일 매일신문 보도. 산재 사고 소식을 다뤘지만, 안전 문제에 대한 지적이 없다.
▲ 9일 매일신문 보도. 산재 사고 소식을 다뤘지만, 안전 문제에 대한 지적이 없다.

 

 산재 청문회에 기업 고충 전한 신문들

이런 가운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오는 22일 산재 청문회를 개최한다. 포스코를 비롯해 현대중공업, LG디스플레이, 쿠팡 등 9개 기업 대표이사를 소환할 계획이다. 

보수신문은 산재 청문회를 비판적으로 다뤘다. 매일경제는 1면에 “국회 산재청문회, CEO 무더기 소환” 기사를 내고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기업인들을 불러세워 표심을 자극하려는 셈법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며 “당장 코로나19 대응으로 정신없는데 국회에서 최고경영자를 중심으로 소환해 공개적으로 면박을 주겠다는 시도 아니냐”는 익명의 재계 입장을 전했다. “또 다시 기업인 망신주기에 나섰다는 비판이 나왔다”(한국경제) “CEO를 무더기로 불러 청문회를 하자는 건 지나치다는 반발이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동아일보) 등 비슷한 지적이 이어졌다. 

재보선 선심성 공약 비슷한 듯 상반된 기사

서울시장 보궐선거 여야 후보자들이 선심성 공약을 잇따라 발표한 가운데 언론의 성향에 따라 이 문제를 다루는 ‘초점’에 차이를 보였다. 

이날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같은 사실’을 다뤘다. 야권의 서울시장 후보자들이 앞다퉈 선심성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나경영’(나경원+허경영) 논란을 부른 나경원 예비후보의 1억원대 결혼출산 지원공약이 논란이 됐다. 그러자 박영선 예비후보가 “국민들은 아무 근거 없이 국가가 돈을 퍼주는 것을 그렇게 썩 좋아하지 않으신다”고 비판했다.

▲ 같은 사실을 전하면서 각각 여야 비판에 초점을 맞춘 한겨레와 조선일보의 기사.
▲ 같은 사실을 전하면서 각각 여야 비판에 초점을 맞춘 한겨레와 조선일보의 기사.

한겨레는 ‘“퍼주기’ 비판하던 야 서울시장 후보들, 앞다퉈 현금복지 공약” 기사를 내고 “그동안 선거용 예산 뿌리기라며 현금 지원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온 기존 야당 입장과 사뭇 다른 풍경”이라고 꼬집었다. 그간 복지 공약을 비판해온 야권의 이중적 태도를 지적한 것이다. 

반면 조선일보는 “선심공약 쏟아낸 여, 야 공약엔 ‘퍼주기’” 기사를 내고 “선심성 공약은 여당이 더 많고 후보 단일화도 여당이 원조” “민주당이 내로남불을 하다 못해 이젠 자기부정까지 하고 있다”는 야당의 반발을 부각했다. 한겨레와는 반대로 야당 예비후보자들의 선심성 공약을 비판하는 대신, ‘퍼주기’ 비판을 한 여당이 이중적이라고 본 것이다.

경향신문은 사설을 내고 여야 모두를 비판하기도 했다. 경향신문은 “시중에서는 이번 보궐선거 양상을 두고 1년 임기에 공약은 대선 후보급이라는 비아냥이 나온다”며 “오로지 이기기만 하면 된다는 식으로 허황된 공약만 쏟아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황희 청문회, ‘60만원 발언 역공’ ‘해외여행’ 등 도마에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온갖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조선일보는 황희 장관 후보자가 최근까지 46개 계좌를 개설한 점을 부각해 지적했다.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실 자료를 인용한 기사로 황 후보자 30개, 배우자 15개, 딸 1개의 은행계좌 개설 사실을 지적했다. 황 후보자가 월 60만원을 쓴다고 발언한 데 대한 반박성 정황으로 조선일보는 “야당은 황 후보자 일가족이 월 60만원 생활비로 해마다 해외여행을 즐기고 자녀가 한 학기 학비가 2100만원에 이르는 외국인학교에 진학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했다.

▲ 황희 후보자 의혹을 다룬 경향신문, 조선일보 기사.
▲ 황희 후보자 의혹을 다룬 경향신문, 조선일보 기사.

이 외에도 언론은 2019년 말 출판기념회를 통해 모금한 7000만원으로 아파트 전세대출금을 갚은 점, 2017년 7월 국회 본회의 당시 병가를 사유로 본회의에 빠진 뒤 가족들과 스페인 여행을 다녀온 사실, 공교육 중심 교육 평준화를 강조한 후보자가 딸을 1년에 4300만원 드는 외국인 학교에 보낸 점 등을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사설을 내고 “전문성과 행정 역량, 도덕성 중 어느 것 하나라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역시 “제기된 논란에 대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게 설명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지 않는다면 문재인 대통령과 가까워서 기용됐다는 세간의 비판을 입증하면서 국정운영에 짐만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