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임기가 후반부에 이르면서 문 대통령과 마지막을 함께할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한창이다. 23일 올해 첫 연차를 사용한 문 대통령이 개각을 구상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그 이후로 예상되는 비서실장 교체 시점도 관심이다.

대통령비서실은 현행 법·제도상 대통령의 ‘비서’로서 참모조직을 이끄는 역할이지만 상당한 정치적 역할과 위상을 지닌다. 지금의 대통령비서실은 정무·국민소통·민정·시민사회·인사 수석실을 비롯해 현 정부 들어 부활한 정책실을 두고 있다. 정책실은 일자리·경제·사회수석 및 경제·과학기술보좌관을 총괄한다. 사실상 정책 전반에 대한 방향이 대통령비서실에서 논의되고, 그만큼 비서실장의 메시지가 지닌 무게도 중하다.

역대 대통령은 사실상 ‘순장조’ 역할을 해야 하는 마지막 대통령비서실장에 신임이 깊은 최측근을 기용했다. 문민정부를 기점으로 김영삼 대통령은 조선일보 편집국장 출신으로 내무부 장관을 지낸 김용태 비서실장, 김대중 대통령은 청와대 공보수석 및 문화공보부장관을 지낸 박지원 비서실장(현 국가정보원장)과 마지막을 함께했다.

▲ 왼쪽부터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노영민 현 대통령비서실장. 사진=연합뉴스, gettyimagesbank
▲ 왼쪽부터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노영민 현 대통령비서실장. 사진=연합뉴스, gettyimagesbank

노무현 대통령 시절 마지막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대통령은 정권 초기 민정수석을 맡았다 대통령 탄핵 위기에 돌아왔고, 이후 시민사회수석 및 비서실장을 지냈다. 이명박 대통령은 SBS 사장 출신인 하금열 SBS 상임고문을 마지막 비서실장에 발탁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실장은 김대중 대통령 시절 비서실장이었던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이다.

현재 차기 비서실장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은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경제부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우윤근 전 러시아대사, 김부겸 전 의원 등이다. 양정철 전 원장 본인은 이를 고사하며 최재성 수석을 추천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양 전 원장에게 직간접적인 권유가 이어지고 문 대통령이 결심하면 뜻을 굽힐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신임이 높은 인물이 비서실장에 기용되는 일 자체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봤다. 대통령의 국정운영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려 할 때 제동을 걸거나 직언을 하려면 대통령과 비서실장 상호 간의 신뢰가 기본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윤태곤 의제와전략그룹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첫번째로는 대통령에게 마음이 편한 사람이 필요한 것 같다. 그래야 쓴소리를 하든 좋은 소리를 하든 대화가 가능하지 않겠느냐”며 “진보적이냐 보수적이냐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했다. 박상훈 정치발전소 학교장(후마니타스 대표)도 “많은 이들이 ‘측근을 두지 말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대통령과 사적인 신뢰가 적으면 대통령 본인이 하고자 하는 일에 비공식적 활동을 요청하기 어려울 거고, 비서실장이 될 사람도 대통령이 하기에 불편한 것을 건의하기 어려울 것”이라 말했다.

나아가 윤태곤 실장은 “대통령과 사람들의 접촉면을 늘릴 수 있는 사람이면 좋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이 말을 하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문 대통령의 소통 빈도나 방식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중간’이라 평가했다. 김대중 대통령의 건강 문제 등으로 박지원 비서실장(현 국가정보원장)이 활발하게 정치권·언론 대응에 나섰던 때와, 대통령 본인이 직접 자신의 메시지를 전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중간 즈음이라는 것이다. 윤 실장은 “지금(문 대통령의 메시지 등)은 일방향의 소통이지 묻는 데 답을 하는 건 아니지 않나. 지금보다는 (직접적인 소통이) 늘어나는 게 나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2007년 8월9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왼쪽)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2007년 8월9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왼쪽)과 대화를 나누며 걷고 있다. ⓒ연합뉴스

박상훈 학교장은 “임기 말의 대통령비서실장은 대통령이 욕심을 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박 학교장은 “우리나라 대통령은 단임제라 임기 말 지지율이 불가피하게 떨어진다. 차기 대통령 후보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정당의 시간이 더 압도적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 말 과도하게 ‘진박’ ‘친박’ 등 상황을 자기 위주로 돌아가게 한 게 사회에 비극을 안겨주지 않았냐”며 “뒤돌아보면 그런 일은 측근보다는 신뢰관계가 없는 사람들이 개인적 공을 세우기 위해 한 점도 적지 않았다”고 돌아봤다. 덧붙여 그는 정당 중심의 책임정부를 공약했던 문 대통령이 ‘청와대정부’를 부활시킨 점을 꼬집으며, 다음 정부는 집권당·내각 중심 국정운영을 할 수 있게끔 초석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유창선 정치평론가는 “온 나라가 떠들썩한 현안에 대해 대통령 리더십이 부재한 상태다. 이런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민심보좌’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며 “현재 거명되는 인물들은 다 ‘친문’ 핵심 인물들이다.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유 평론가는 추미애 법무부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 그보다 앞선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 등 장기화된 갈등 국면이 반복되는 상황에 대통령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제는 이런 걸 청와대가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정치학계 인사는 “‘양비’(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빼고는 다 된다고 본다. 책략, 책사 이미지가 너무 강한데 민주연구원장을 지내는 동안 그런 이미지가 더 강화됐다”며 “차기 대선이나 지방선거에서 역할을 하는 등 그 이후를 도모하는 게 낫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