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발행하는 중앙일간지의 ‘동남권 신공항’ 논란 보도에 부산 언론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일보는 20일 “‘신공항 추진에 선거 표심 바뀐다’는 수도권 언론의 오만” 기사를 내고 19일 조선일보 사설 “오거돈 성추행 뒷감당에 왜 국민이 10조 원 내야 하나”에 반박했다.

부산일보는 “부산 민심이 마치 가덕신공항이라는 ‘떡’만 안겨 주면 아무 생각 없이 여권의 손을 들어 줄 것이라는 투다. 이런 시각이야말로 지역의 민도를 낮춰 보는 수도권의 오만한 인식”이라고 비판했다.

부산일보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직후인 19대 부산총선에서 예상보다 보수정당이 압승하는 등 신공항이 영향을 미치지 못한 역대 선거 사례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가덕도 신공항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해서 부산 표심이 한쪽으로 쏠리지는 않았다”고 지적한 뒤 “단지 선거가 임박했다고 해서 ‘10조 원짜리 매표 행위’라며 자극적으로 선동하는 행태야말로 지역민들의 수준을 깔보는 것”이라는 부산 정치권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 20일 부산일보 3면 기사.
▲ 20일 부산일보 3면 기사.

부산일보는 조선일보 등 언론이 국무총리실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의 일부 위원들의 주장을 전한 데도 비판하는 기사를 냈다. 

부산일보는 “김해신공항 백지화 결정 이후 대구·경북 정치권과 수도권 중심주의에 갇힌 조선일보 등 일부 언론에서 가덕신공항 건립을 ‘정쟁’으로 끌고 가며 집요한 방해 행위를 할 것은 예상됐지만, 소수의 검증위원이 그 논리에 편승한 것에 대해서는 다소 ‘황당하다’는 반응마저 나온다”고 했다.

부산일보는 △ 김해신공항 검증위는 가덕도 신공항을 검증한 적 없기에 가덕도 공항에 대한 평가는 부적절하고 △ 충분한 논의 과정이 있었는데 답을 정해놓은 논의라고 평가하는 건 부적절하고 △ 태풍 등 피해가 과장됐다는 등 언론에 보도된 검증위원의 발언에 반박했다.

박종호 부산일보 수석논설위원은 칼럼을 통해 수도권 중심주의 보도를 비판했다. 박종호 논설위원은 “태풍의 진로가 서울로 향하면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태풍이 진로를 바꾸면 ‘다행히 수도권을 비껴간다고 안도한다”며 “지방 공항에 대한 수도권 언론의 시각은 일찍부터 짐작이 되었다. (중략) 지역의 불편을 도외시하고, 노선 독점을 원하는 인천공항과 국적 항공사의 이해에만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고 했다.

▲ 지난해 6월 핀란드-김해 직항 노선 도입 당시 조선일보와 부산일보의 보도.
▲ 지난해 6월 핀란드-김해 직항 노선 도입 당시 조선일보와 부산일보의 보도.

지난해 6월 핀란드 항공사 핀에어가 김해공항에 부산 헬싱키 직항 노선을 신설하자 조선일보는 인천공항 허브화 정책에 반한다는 지적을 담은 “느닷없는 부산~헬싱키 노선…국내 항공사들 뿔났다” 기사를 냈다. 

박종호 논설위원은 “수도권 언론이 쏟아낸 ‘김해신공항 백지화는 내년 부산시장 보궐선거용’이라는 식의 보도에 분통이 터졌다. 진보와 보수도 없고, 서울과 지방만 있었다”며 “서울은 2002년 김해 돗대산에서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로 129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을 잊었다. 김해공항은 조종사들이 세계에서 가장 가기 싫은 공항 TOP5 안에 든다는 사실을 모른다. 만약 김포공항에서 이런 사고가 났어도 지금처럼 선거용이라고 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 20일 국제신문 기사.
▲ 20일 국제신문 기사.

같은 날 임성원 부산일보 논설실장은 김해 신공항 백지화 결정이 선거용이라는 지적을 담은 종합일간지 1면 기사를 언급한 뒤 “부산에 배달된 신문의 보도 행태가 이 지경인걸 보면 도대체 이들 언론사가 부산 독자들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의아스럽기까지 하다”고 했다.

같은 날 국제신문은 지역 각계 인사들이 참석한 포럼 분위기를 전하며 “성추행 심판 선거를 가덕신공항으로 덮었다는 한 언론의 기사를 거론하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고 전했다. 18일 국제신문은 “선심성 정책? 서울 언론 안전 내팽개친 정치 잣대로 궤변” 기사를 내기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