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포털에 보내는 언론사의 기사 수를 제한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또한 포털이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와 함께 광고료 책정 이유 등 운영 전반을 투명하게 해야 한다는 비판도 나왔다.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상생과 저널리즘 제고를 위한 포털의 사회적 책무’ 토론회가 열렸다.

이용성 한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뉴스 배열 알고리즘에 대한 공개가 필요하다”며 “현재 신문법은 배치 관련 기사의 정의, 범위, 선정기준 등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고 있으므로 시행령 개정을 통해 기사 배열 기본방침과 알고리즘 요소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성 한국일보 디지털전략팀장은 “포털은 알고리즘뿐 아니라 어뷰징 기사를 쓰면 광고료를 낮게 책정하는 ‘NG(Not Good)팩터’ 등 전반적 운영방식이 불투명하다”며 “어떤 기사 때문에 광고료가 낮아졌는지 설명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 팀장은 “이뿐 아니라 조회수가 높아졌어도 광고료가 낮게 책정되는 경우 무엇 때문에 광고료가 낮아졌는지 등을 밝히지 않는다”며 “여러 가지 운영에서 투명하지 못한데 포털은 이런 것을 무기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이봉현 한겨레 저널리즘책무실장은 “언론사들이 네이버나 카카오에 보내는 기사 개수를 제한하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을 했다.

이봉현 실장은 “언론사가 하루 포털에 보내는 기사가 수만 개인데 언론사는 자극적으로 기사를 쓰거나 기사 수를 늘려서 조회수를 얻으려고 한다”며 “한 일간지는 하루에 800~1000건을 보내고 경제지는 700~800개의 기사를 보내는데, 지면에 쓰는 기사는 이 가운데 20% 정도밖에 안 된다. 나머지는 포털용 기사인데 포털용 기사 상당수가 조회 수만을 위한 날림 기사”라고 말했다.

▲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상생과 저널리즘 제고를 위한 포털의 사회적 책무'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정민경 기자. 

이 실장은 “포털을 위한 날림 기사들이 결국 한국 저널리즘을 황폐화하고 있다”며 “언론사들이 자회사를 만들어 어뷰징 기사, 보도자료를 복사한 기사, 텔레비전이나 예능 프로그램을 보고 공장처럼 찍어내는 기사, 연예인 인스타그램을 보고 쓰는 기사 등 기사 한 명이 20~30건을 쓰는데 취재를 하고 쓸 수 있는 양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포털에 무제한으로 보낼 수 있는 기사수를 제한하면 조금 더 저널리즘 측면에서 질 좋은 기사가 많아질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강사(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 전문위원)는 이 실장의 제안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이외에도 방송사와 사업자가 갈등이 생겼을 때는 분쟁조정위원회가 있는데 포털과 언론사가 분쟁이 생겼을 때는 이를 중재할 위원회가 없다. 이를 위한 분쟁위원회 등을 신설하는 방안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방송사 신뢰도 조사처럼 포털 신뢰도 조사 같이 포털 서비스 조사를 하는 방안도 있다”고 전했다.

송경재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연구교수는 “뉴스 없는 포털은 생각할 수 없다”며 “만약 뉴스가 없다면 이렇게 많은 사람이 포털에 지금처럼 접속하겠느냐”고 포털 역시 언론사의 뉴스에 의해 혜택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포털은 뉴스로 인한 혜택은 누리면서 책임은 지지 않으려고 한다”며 “뉴스 생산을 하지 않는다고 언론사가 아니라는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큰 영향력이 있다면 책임도 함께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