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과 관련해 일본인의 43.1%, 한국인의 78.4%가 “상대국 언론인의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자국에서 보도되는 상대국 뉴스가 양국 간 갈등을 유발한다는 지적에는 일본인의 22.0%, 한국인의 35.8%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발간한 ‘한·일 갈등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에서 보도되는 한국 관련 뉴스는 갈등을 유발한다”는 문항에 일본인의 22%가 “그렇다”, 2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반면 “한국에서 보도되는 일본 관련 뉴스는 갈등을 유발한다”는 문항에 한국인은 35.8%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그렇지 않다”는 20.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일본에서 보도되는 한국 관련 뉴스는 일본 입장에 가깝다”는 문항에는 일본인의 13.9%만이 “그렇다”고 답했고, 30.5%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반면 “한국에서 보도되는 일본 관련 뉴스는 한국 입장에 가깝다”는 문항에 한국인은 45.8%가 “그렇다”며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렇지 않다”는 답은 16.4%에 불과했다. 

또한 일본인의 13.9%만이 “일본에서 보도되는 한국 관련 뉴스는 공정하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답했다. 33.4%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한국인의 경우 “한국에서 보도되는 일본 관련 뉴스는 공정하다”는 문항에 18.7%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33.5%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이번 여론조사결과에 비춰보면 한국인의 경우 일본 관련 뉴스가 한국 입장에 가까운 것이 갈등을 유발하는 측면이 있지만, 이 같은 보도양상을 오히려 ‘신뢰’의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 이는 일본이 전범 국가로서 가해자의 위치에 있고, 한국이 피해자의 위치에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전문가별 책임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상대국가 언론인의 책임이 있다”는 문항에 일본 시민의 43.1%, 한국 시민의 78.4%가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일본보다는 한국에서 상대국 언론인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산케이신문 같은 극우성향 매체 소속 언론인들의 ‘망언’이 누적되어온 결과로 보인다.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위근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시민과 일본 시민 모두 상대 국가 및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 비율이 20%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국가가 경계 대상이라는 인식을 가진 시민은 일본이 약 41%, 우리나라가 약 81%였다”며 “양국 시민의 이 같은 상호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한 한·일 갈등이 개선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위근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일본 상품 불매운동’ 이후 우리나라 시민의 약 80%는 제품 구입이, 약 69%는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제품 구입 감소에 대해 약 31%, 콘텐츠 이용 감소에 대해 약 28%의 응답을 한 일본 시민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우리나라 시민의 ‘일본 상품 불매 운동’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해 “양국이 서로 반반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약 40%, 우리나라 시민이 약 75%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25일부터 28일까지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일본 조사는 현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대행한 ‘Syno Japan’이 742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26일부터 31일까지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p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