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민일보가 도내 공무원들에게 신문 구독을 강요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다. 강원도민일보 측은 강요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강원도민일보가 원주시 특정 부서에 보낸 ‘2020년 신문보내기 캠페인 협조 의뢰’란 제목의 공문을 보면 “‘신문보내기 캠페인’은 자치분권 시대를 맞아 정부 부처와 전국단위 공공기관, 출향 인사 및 정보 사각지대에 있는 강원도 내 사회복지 시설, 다문화 가정, 군 장병 등에게 독지가의 이름으로 강원 소식을 알리는 애향 운동”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1구좌 당 20만원, 배포 기간 2020년 8월1일~2021년 7월31일(12개월) 계좌번호, 문의처” 등을 공지하고 “10구좌 신탁의뢰” 한다고 적었다. 즉 해당 부서에서 200만원어치 신문을 구독해달라는 의미다. 

▲ 강원도민일보 로고. 사진=노컷뉴스
▲ 강원도민일보 로고. 사진=노컷뉴스

원주시 공무원 A씨는 미디어오늘에 “부서별 성향에 따라 구좌수(금액)를 다르게 배정했더라”며 “(사업부서 직원이 아닌) 기자가 직접 공문을 들고 왔다”고 말했다. A씨는 “지역사회에서 지역언론과 관계를 고려하면 사실상 강매”라며 “원주시는 계도지 예산을 책정하지 않아 공무원들이 사비로 갹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강원도엔 원주시만 OOO가 없다]

미디어오늘은 지난 5월말 강원도 18개 시군 중 원주시만 계도지를 폐지(2000년부터)했고 시군 별로 적게는 1억원에서 많게는 8억원까지 이·반장 등이 볼 신문 구독료를 세금으로 대납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세금은 주로 도내 일간지 강원일보와 강원도민일보를 구독하는 데 쓰였다. 

원주시뿐 아니라 도의회·홍천군에도 보내

이에 미디어오늘은 강원지역 18개 시군과 강원도의회 사무처에 최근 5년간 ‘신문보내기 캠페인’ 관련 문건을 정보공개청구했다. 

▲ 강원도민일보가 강원 홍천군에 보낸 '신문보내기 캠페인 협조 의뢰' 공문.
▲ 강원도민일보가 강원 홍천군에 보낸 '신문보내기 캠페인 협조 의뢰' 공문.

그 결과 강원도민일보는 원주시에 보냈던 것과 같은 공문(2020년 신문보내기 캠페인 협조 의뢰)을 강원도의회 사무처에 보냈고, 2016년에는 홍천군에 ‘신문보내기 캠페인 협조 의뢰’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정보공개청구로 확인되지 않은 사례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미디어오늘이 A씨에게 해당 공문을 받았지만 원주시는 정보공개청구에 ‘부존재’ 처리했다. 해당 공문을 기자가 직접 전달하는 경우 오프라인에서 바로 폐기하거나 혹은 구독신청을 해서, 내부망에는 등록되지 않기 때문이다. 

매년 책자 구매 요구도 

원주시 공무원 A씨는 “매년 연말이면 인물연감 등 각종 책자를 팔아달라고 하는 것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이 역시 언론사 눈치를 보느라 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 원주시가 구매한 강원지역 언론사가 발행한 각종 책자. 사진=공무원 A씨
▲ 원주시가 구매한 강원지역 언론사가 발행한 각종 책자. 사진=공무원 A씨

강원도민일보 측, 강매 사실 부인

미디어오늘은 지난달 23일부터 해당 공문을 원주시청에 전달했다는 원주시 출입기자에게 수차례 문자와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10일 현재 답을 듣지 못했다. 

강원도민일보 독자국장은 10일 미디어오늘에 보낸 입장문에서 “신문 고유 업무 영역이자 마케팅 전략인 사안에 일방적 예단과 추측으로 질의한 의도가 무엇인지 묻는다”며 “정상적 고유 업무에 해당하는 사안으로 답변 의무가 없다고 보고 보도로 인해 향후 발생하는 유무형 피해에 대해 법적대응을 포함해 적극 대처해 나가겠다”고 했다. 

독자국장은 신문보내기 캠페인 취지를 “도민들 자발적 참여로 강원이슈와 향토시식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고 많은 신문사가 활용하는 공공저널리즘 마케팅 아이템”이라고 소개했다. 

기자가 공문을 전달한 부분에 대해 “공문을 대부분 우편을 통해 전달하며 일부 지역에서 지사장이나 업무사원이 전달하는 경우가 있으나 기자가 전달하는 경우는 없다”며 “만약 있었다면 인력 부족으로 업무 지원 차원에서 전달하는 일은 있지만 이 같은 일이 생기지 않도록 지역 책임자에게 철저히 당부하고 있다”고 답했다. 

신문 강매라는 주장에 독자국장은 “다매체 시대인 상황에서 신문이 일방·강압적으로 공익 캠페인을 추진하는 게 가능하다고 보느냐”며 “도민들의 공감없이 강압적으로 진행했다면 30년 가까이 유지가 가능했겠느냐 반문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신문보내기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발적 캠페인으로 어떠한 압력이나 강요가 없음을 다시 한번 밝히고 실질적으로 관공서에서 이뤄지는 신탁구좌는 그리 많지 않다”고 덧붙였다. 

연감판매에 대해 독자국장은 “지역의 공적 정보를 담아 펴내는 언론사 상품 판매 행위에 대해 ‘강매·강압’ 등 표현을 사용하려면 비판·보복기사 등 실행까진 아니더라도 공문을 통합 협조 단계에서 ‘공갈·협박’을 받을 구체적 행위가 수반돼야 한다”며 “혹여 연감판매 과정에 물의가 빚어지지 않도록 외주판매를 통해 기자들과 지사장들까지 관여·판매를 원천 차단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강원일보연감, 연합연감, 기협100대 뉴스 등 타 언론사 책자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왜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지 되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