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영악화로 신문사들이 허리띠를 졸라맨 가운데 중앙일보도 5월부터 비상 경영체제로 전환하며 위기 진화에 나섰다.

중앙일보는 지난 7일 주요 직책자들에게 “광고를 포함해 1분기 매출이 계획 대비 큰 차질을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 여파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라 2분기 이후 개선된다는 보장이 없다”고 했다.

이어 “최근 국내 평가기관들이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신용등급을 일제히 ‘부정 전망’ 및 ‘등급 하향’으로 처리하는 추세인지라 정기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중앙일보는 등급 유지를 위한 일정 수준의 영업이익과 현금흐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다.

▲ 중앙일보 사옥. 사진=김도연 기자.
▲ 중앙일보 사옥. 사진=김도연 기자.

회사가 밝힌 중앙그룹 공통 비상경영 조치는 △3월부터 시행 중인 임원 급여 20% 반납은 6월까지 우선 연장 △중앙그룹 지침에 의거 올해 직원 임금은 동결 △5월부터 전 부서 활동성 경비 예산 30% 삭감 등이다. 사측은 “이외에도 마케팅 비용, 해외출장비, 행사비도 축소 집행하며 기타 비용 절감과 체질 개선 방안을 시행할 예정”이라고도 했다.

단, 개인평가 결과에 따른 성과 인상분은 반영해 5월에 지급(소급적용)하고 영업·취재 활동 독려를 위해 개인 영업비, 출입처 취재비는 100% 지급된다.

이번 비상경영 조치 대상은 JTBC·중앙일보 통합노조에 소속되지 않은 비조합원들로, 주로 경영직군 사원과 보직 간부들에 해당한다. 평기자들은 현재 적용 대상이 아닌 것. 중앙일보 노사는 올해 임단협을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

지상파 3사 방송사들이 ‘비용 절감’을 선언하며 긴축 재정에 나선 데 이어 중앙 종합일간지 쪽 상황도 녹록지 않다. 한국신문협회는 최근 발행한 신문협회보를 통해 “신문 광고 물량이 대폭 축소되고 각종 문화사업이 취소되면서 전년 대비 전체 매출의 40~50% 이상 줄어들었다”며 “정부 광고를 집중적으로 집행하고 홍보예산도 증액하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