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총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9일부터 공직선거법에 따라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다. 이에 8일자 아침신문들은 주요 지역 여론조사 결과를 지면에 실었다. 

동아일보는 1면 기사에서 지난 7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자체 조사를 분석해 민주당은 130~139석, 통합당은 123~128석을 얻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1일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하면서 양당은 각각 지역구에서 130석씩 확보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 사이 여야가 각각 5석 안팎의 득점과 실점을 했다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국민일보는 CBS·리얼미터에 의뢰해 대구 수성갑 등 5곳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지면에 실었고, 서울신문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서울 종로 여론조사 결과를 싣는 등 내일부터 시작될 소위 ‘깜깜이 선거’기간을 앞두고 판세 분석에 힘을 쏟았다. 

이는 수없이 지적했던 경마 중계식 보도(정책대결이 아닌 어떤 후보 지지율이 앞서는지를 중심으로 보도하는 행태)다. 이왕이면 될 사람을 뽑거나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없으면 투표장에 나가지 않는 유권자의 심리를 부추기는 보도행태다. 정책선거가 이뤄지지 않는 걸 정치권의 문제만으로 볼 순 없는 이유다. 

▲ 8일자 조선일보 정치면
▲ 8일자 조선일보 정치면

 

실제 여론조사가 제대로 판세를 예측하는지 신뢰성에 금이 간지 오래됐다. 조선일보는 4면(정치면) “집전화 비율따라 결과 다 달라…한국 여론조사엔 과학이 없다”란 기사에서 집전화와 휴대전화 비율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가 달라지는 걸 지적했다. 

물론 조선일보는 “언론사들이 발표한 각종 여론조사 결과는 다수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들의 우세를 점치고 있지만 이런 여론조사 상당수는 표본 구성에서 무선전화 비율이 90%를 웃돌았다”며 통합당 등 보수지지층에게 ‘민주당이 반드시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한 측면이 없지 않다. 보수층 집결을 유도하는 기사로 볼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조선일보의 지적은 왜 관행처럼 응답률이 낮은 여론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로 지면을 채우는 행위가 여론을 왜곡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 신문은 “국민일보가 지난 4~5일 실시한 서울 구로을 여론조사에선 민주당 윤건영 후보 42.5%, 통합당 김용태 후보 37.5%로 5%p 차였다. KBS 지난 2~4일 조사에선 두 후보간 격차가 22.4%p나 됐다. 국민일보의 동작을 조사에선 통합당 나경원 후보가 44.1%, 민주당 이수진 후보가 40.9%였지만 문화일보 5~6일 조사에선 이 후보(47.2%)가 나 후보(34.3%)를 12.9%p 앞섰다”고 예를 들었다. 

이어 “이런 결과엔 유무선 전화 비율의 차이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며 “국민일보는 이번 조사에서 유선전화 비율을 각 30% 정도 반영했지만 여당 후보가 야당 후보를 큰 격차로 앞선 다른 조사는 일부를 제외하곤 표본 대부분을 휴대전화 조사로 채웠고 유선 비율은 10%에 못미쳤다”고 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통합당 여의도연구원은 전국 253개 지역구 중 유선전화 비율을 20~30% 반영한 추적조사를 하고 있는데 휴대전화 비율이 높은 여론조사에서 ‘숨은 보수표’가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4.3 경남 창원 성산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휴대전화 100%로 실시한 한 여론조사에서 정의당 여영국 후보가 통합당 강기윤 후보를 24.1%p 차로 앞섰지만 실제 선거에선 득표율 0.54%p차로 신승했다. 

이 신문은 “휴대전화만으로 조사한 것이 부정확할 수 있다”고 했다. 일부 전문가들 분석에 따르면 60대 이상은 휴대전화를 아는 사람과 통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모르는 번호를 잘 받지 않는 경향이 있고 설령 여론조사 전화를 받더라도 야당 지지의사를 선뜻 밝히기 꺼리는 경우가 있어 휴대전화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여당지지 표심이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조선일보는 같은면 다른기사에서 내일(9일)부터 여론조사 공표 금지기간인데 과거 총선 결과를 보면 1주일새 표심이 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20대 총선인 지난 2016년 투표 일주일을 앞둔 4월4~6일 한국갤럽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에서 여당인 새누리당(39%)이 더불어민주당(21%)과 국민의당(14%)를 앞섰지만 실제 선거에선 새누리당이 122석으로 민주당(123석)에 한석을 놓쳐 1당을 빼앗겼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여당 지지자들이 공천 파동 등 실망감으로 지지를 철회한 사이, 야당 성향 유권자들이 민주당 후보를 중심으로 결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선일보는 통합당이 지난 7일 서울 관악갑 김대호 후보가 “30, 40대는 논리가 없다” 등 발언으로 논란이 되자 제명하기로 했고,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규모와 대상을 두고 여야가 경쟁적으로 현금을 더 줘야 한다고 하는 분위기 등을 거론하며 막판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모른다는 예측을 함께 전했다. 현재 민주당 후보 지지가 높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메시지가 깔려있는 보도로 해석된다. 

한편 한겨레는 1면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자체분석 결과를 이용해 여성후보들이 얼마나 당선될 가능성이 있는지 살폈다. 

▲ 8일자 한겨레 1면
▲ 8일자 한겨레 1면

 

역대 총선을 보면 지역구 여성 당선자는 15대(1996년) 2명, 16대(2000년) 5명, 17대(2004년) 10명, 18대(2008년) 14명, 19대(2012년) 19명, 20대(2016년) 26명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한겨레 분석 결과 이번 총선에서 당선 안정권으로 분류할 수 있는 후보는 20명대 초반에 그쳤다. 20대 총선보다 적을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정당 별로 보면 민주당은 지역구 32곳에 여성 후보를 공천했는데 이 중 10곳을 우세, 1곳을 경합우세 지역으로 분류했고, 26명의 후보를 낸 통합당은 7곳 우세, 4곳을 경합우세 지역으로 봤다. 정의당은 심상정 후보가 나선 경기 고양갑 1곳을 경합우세 지역으로 판단했다. 

한겨레는 “눈여겨볼 부분은 지역구에 출마한 여성 후보자는 4년 전(100명)보다 2배 이상(213명) 늘었지만 이 중 거대 양당이 공천한 후보는 민주당 32명, 통합당 26명에 머물렀다”며 “총선 전 ‘여성 후보 30%를 공천하겠다’고 공언한 것이 무색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여성 공천 지역구의 ‘질’도 떨어진다고 봤다. 자신의 지역구에 재도전하는 경우가 아니면 대다수 여성 후보자들은 경쟁 정당이 독점해온 ‘험지’로 내몰렸기 때문이다.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장은 한겨레에 “2017년 ‘미투’운동부터 최근 ‘텔레그램 n번방’ 사건까지 가장 첨예한 여성 이슈를 제도권 정치는 다루지 못했다”며 “기성 정치가 여성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현실을 방증한다”고 진단했다. 

한겨레는 “여성계에선 지역구 여성 공천 비율 30%를 선거법에 강제조항으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했다. 

정부는 선거가 일주일 남은 가운데 코로나19로 자가격리된 유권자들의 자가격리를 ‘일시 해제’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경향신문이 이 소식을 1면에서 전했는데 총선 당일 자가격리자를 7만5000여명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시도 단위별로 사전투표소를 일정 장소에 설치해 투표할 수 있게 하는 ‘자가격리용 특별사전투표소’ 설치 방안과 일정시간 자가격리를 해제하고 전국 각 투표소에서 마련한 임시 기표소에서 투표하게 하는 방안 등을 논의 중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코로나19 확진자 등을 대상으로 부재자 투표 방식인 거소투표를 허용했지만 신고 기간이 지난달 28일 마감됐다. 이후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된 이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경향신문은 보도했다. 

선관위는 사전투표 기간인 10~11일 코로나19 확진자 생활치료센터에서 특별사전투표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곳은 확진자와 의료지원인력 900여명이 있는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지역 내 생활치료센터 8곳에 설치한다. 

다음은 8일 아침종합신문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선거 당일 자가격리 7만여명 ‘일시 해제’로 투표 길 열리나”
국민일보 “비법조인 3명 이상 대법관에 포함 검토”
동아일보 ‘민주 “130~139석” 통합 “123~128석”’
서울신문 “그래도 채용”세계일보 “‘퍼주기 空約’ 경연장 된 선거판”
조선일보 “1400만원 빚있는데, 또 빚내 100만원 준답니다”
중앙일보 ‘승부는 지금부터, 유권자 절반 “1주 남기고 후보 결정”’
한겨레 “여성후보들 험지 ‘악전고투’…당선권 23명뿐”
한국일보 “내 한표가 아까운 ‘3류 총선’”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