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검찰이 유착돼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약점을 캐내려했다는 ‘검언 유착 의혹’ 논란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겨레는 “(사안을) ‘윤석열 때리기’로 몰아가는 보도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는 여론 호도”라 주장했다.

한겨레는 MBC 보도로 알려진 채널A와 검찰의 유착의혹과 관련해 직접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보도를 비판했다. “본질을 흐리는 전형적인 방법 중 하나가 사실 여부를 밝혀야 할 때 ‘정파적 프레임’을 들고나오는 것”이라며“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태도가 딱 그렇다”는 것이다. “채널A의 ‘막장 취재’나 채널A와 윤석열 검찰총장 측근 검사장의 유착이 실제 있었는지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MBC 보도가 여권의 ‘윤석열 때리기’ 일환이라고 몰아가고 있다”고도 했다. (4일 사설 “‘검-언 유착 의혹’ 규명이 ‘윤석열 때리기’라는 조선·중앙”)

▲4일 한겨레 사설
▲4일 한겨레 사설

 

한겨레는 이 사건 본질은 언론 윤리를 위반한 채널A 취재 행태, 그리고 실제 양측이 공모를 했는이 여부라고 봤다. 한겨레는 “사실이라면 검-언 유착으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진실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선일보는 현재 검·언 유착 의혹의 의도는 검찰 흔들기라는 비판을 이어갔다. 특히 MBC 보도 제보자의 정치적 의도가 순수하지 않다고 봤다. 제보자가 “극렬 친문·친조국 성향을 보이며 윤 검찰총장에게 강한 적대감을 표출해온 사기·횡령 전과자”란 점을 이유로 들었다.(4일 “사기 전과자가 '윤석열 의혹' 띄우면, 친여 매체들이 뭇매”)

▲4일 조선 10면
▲4일 조선 10면
▲4일 조선 26면
▲4일 조선 26면

 

조선은 의혹의 중심에 선 채널A 기자와 특정 검사장이 사실관계를 부인하는 상황에서 “보도를 한 MBC 기자조차 ‘검찰 유착은 100% 확실하게 딱 떨어지게 저희가 제시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며 “취재 윤리 위반 행태는 사실이지만 검·언 유착은 뚜렷한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조선은 KBS·MBC·TBS 등에서 검·언 유착 의혹을 적극 보도하는 것을 두고 “의도적인 '윤석열 흔들기'라는 관측이 법조계에서 나온다”고 전하며 “사실상 친정권 방송들이 협업한 셈”이라고 평했다.

조선일보 법조팀 박국희 기자도 칼럼에서 “채널A 기자의 편지를 놓고 마치 정권 붕괴의 비밀공작 계획서를 발견한 것처럼 윤석열 검찰총장을 밀어붙이고 있는 여권 인사들에게 묻고 싶다. 한쪽 눈을 일부러 가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가 물었다.(4일 “[기자의 시각] ‘윤석열 최측근’의 일화”)

▲4일 세계 1면
▲4일 세계 1면
▲4일 한국 10면
▲4일 한국 10면

 

세계일보는 총선 쟁점이 된 검·언 유착 이슈를 두고 “더불어민주당계의 비례정당들은 연일 검찰을 때리며 선거 변수로 만들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개혁 쟁점을 전면화할 경우 ‘조국 사태’가 부각될 수 있어 검찰 관련 언급을 최대한 자제하지만,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공천탈락자들이 모인 열린민주당은 “경쟁적으로 ‘검찰 때리기’에 나섰다”고 전했다.

대검찰청은 2일 채널A 기자와 현직 검사장의 유착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MBC와 채널A에 녹음·촬영물 등을 제공해달라고 협조 요청했다. 법무부도 구두와 공문으로 두 차례에 걸쳐 이 사건을 상세히 조사하라고 대검에 지시했다. 4일 언론은 검찰에서 감찰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 법무부가 직접 감찰을 할 가능성도 내다봤다.

▲4일 경향 1면
▲4일 경향 1면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 74일 만에 확진자 1만명, 2009년 신종플루의 2배 속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3일 총 1만62명을 기록했다. 지난 1월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74일 만에 1만명을 넘겼다. 경향신문은 ”2009~2010년 신종플루가 첫 환자 발생 130여일 만에 감염자 1만명을 넘어선 것에 비해 확산 속도가 2배 가까이 빠르다“고 짚었다.

누적 사망자는 177명, 완치된 확진자는 6000명을 넘겼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6.4%(647명)이 해외 유입자고 이들의 70% 이상이 수도권에 주소지를 뒀다.

▲4일 중앙 3면
▲4일 중앙 3면
▲4일 한겨레 5면
▲4일 한겨레 5면

 

수도권 확진자는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 반면 대구·경북은 감소 추세다. 수도권 확진자는 지난 1일 1000명을 넘겼다. 대구·경북의 하루 확진자 수는 근래 100명 안팎으로 줄었고 대구는 3일 확진자 수가 9명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3일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자 선정 기준을 발표했다.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가구가 지원 대상이다. 가구원의 건강보험료를 모두 합산해 계산한다. 4인 가구 이상은 100만원, 3인 가구는 80만원, 2인 가구는 60만원이 지원된다.

특정 기준을 넘는 고액자산가는 기준을 충족해도 지원 대상에서 배제된다. 건강보험료에 소득 급감이 반영되지 않은 소상공인, 자영업자 가구는 해당 지자체에서 신청 당시 소득을 반영해 지원 여부를 판단토록 했다.

한겨레는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겠다는 고액자산가 기준이나 코로나19 유행 이후 소득이 지급 기준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 등은 논란의 불씨“라 분석했다. 지역가입자 올해 3월 건보료는 2018년 소득·재산만 반영돼 ”정작 코로나19로 경제적 상황이 급격히 어려워진 가구는 지원금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는 것이다. 정부는 기준 사각지대의 사람에게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창구를 열어놓겠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증빙 절차는 제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4일 한국일보 21면 "어느덧 100만명… 출구 깜깜한 코로나 팬데믹" 제목의 기사.
▲4일 한국일보 21면 "어느덧 100만명… 출구 깜깜한 코로나 팬데믹" 제목의 기사.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